금융감독원 노동조합에 가입한 직원들이 노조위원장의 탄핵을 추진하고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1999년 은행·증권·보험감독원과 신용관리기금이 통합하면서 만들어진 금감원의 설립 이후 처음 있는 일입니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 노동조합은 이달 28일 현직 노조위원장에 대한 ‘불신임’(해임) 투표를 진행합니다. 올 3월 말 기준 금감원 노조원은 1817명(무기계약직 포함)으로 전체 구성원의 74%에 달합니다. 이 재적조합원 중 과반수 이상이 투표하고, 그 결과 3분의2 이상이 불신임에 찬성할 경우 위원장이 자리에서 물러나게 됩니다.
조합원들은 현직 위원장의 소통 부족을 불신임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습니다. 노조의 의견을 통일하고 사측과 유의미한 합의를 도출하기는커녕 노조 대의원, 조합원과의 갈등만 증폭시켰다는 겁니다. 노조원들에게 가장 중요한 사안이라 할 수 있는 임금·단체협약 협상도 유의미한 진전이 없는 상태입니다. 노조 탈퇴를 고려 중인 A팀장은 “소통 과정이 매끄럽지 못한 걸 넘어 독단적인 모습을 보여줬다”고 우려했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복현 금감원장의 임기 만료를 앞두고 이 같은 상황이 펼쳐졌다는 데 주목하기도 합니다. 과중한 업무 강도에도 유관기관 대비 처우가 나빠 금감원 노조원들의 불만이 치솟고 있다는 것입니다. 금감원을 떠나 이직을 선택, 올 1~4월 사이 인사혁신처의 취업심사를 받은 금감원 직원은 22명이나 됩니다. 앞선 지난해에도 20~30대의 퇴사 행렬이 이어져 글로벌 컨설팅 업체 딜로이트에 ‘조직 진단 컨설팅’을 받기도 했습니다.
금감원 B선임조사역은 “조직에 대한 불만을 표출해도 해결이 만무한 상황에서, 노조까지 제대로 돌아가지 않으니 이런 상황으로까지 이어진 거 아니겠냐”고 진단했습니다.
불신임 대상에 오른 노조위원장은 최근 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출했습니다. 법원이 이달 28일 이전에 그의 가처분 신청을 인용할 경우 노조원의 투표가 잠정 연기됩니다. 이 원장의 취임을 계기로 보다 막강한 위상을 갖게 된 금감원. 하지만 조직 안팎에서 파열음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