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베트남전에 공군 파병… ‘하노이 공중전’으로 혈맹 맺어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2월 16일 03시 00분


코멘트

[위클리 리포트]북한과 베트남 ‘혈맹 → 배신 → 동반자’의 역사

오토바이를 탄 베트남 호찌민 시민들이 퇴근을 서두르고 있다. 베트남 어느 도시에서나 매일 볼 수 있는 풍경이다. 호찌민=주성하 기자 zsh75@donga.com
오토바이를 탄 베트남 호찌민 시민들이 퇴근을 서두르고 있다. 베트남 어느 도시에서나 매일 볼 수 있는 풍경이다. 호찌민=주성하 기자 zsh75@donga.com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제2차 북-미 정상회담이 이달 27, 28일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에서 개최된다. 회담지로 낙점된 베트남은 미국과 북한에 있어 서로 다른 시각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 국가다. 북한의 시각에서 베트남은 ‘혈맹의 국가’에서 ‘배신의 국가’로, 다시 ‘따라 배워야 할 국가’로 자리 잡았다. 미국에 베트남은 ‘패전당한 국가’에서 ‘친구의 국가’로 바뀌었고, 이제는 ‘북한의 표본이 될 국가’로 다가섰다.

많이 알려지진 않았지만 50여 년 전 베트남 상공에서 미군과 북한군은 생명을 내건 전투를 벌였다. 당시 북한이 베트남 전쟁을 사회주의 진영과 자본주의 진영의 전쟁으로 규정하고, 수백 명의 지원군을 파견하면서 펼쳐진 상황이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혈맹이었던 북한과 베트남이 ‘애증의 역사’를 갖게 된 이유는 뭘까.


○ “하노이 상공을 평양 하늘처럼 사수하라”


베트남전에 참전한 북한군 비행사들. 2011년 미국 싱크탱크인 우드로윌슨센터가 발굴해 공개한 사진이다. 1983년 귀순한 북한 
공군 이웅평 상위는 “베트남전에서 북한군 조종사 67명이 전사했다”고 증언했다. 사진 출처 우드로윌슨센터
베트남전에 참전한 북한군 비행사들. 2011년 미국 싱크탱크인 우드로윌슨센터가 발굴해 공개한 사진이다. 1983년 귀순한 북한 공군 이웅평 상위는 “베트남전에서 북한군 조종사 67명이 전사했다”고 증언했다. 사진 출처 우드로윌슨센터
지난해 9월 9일 북한 정권 수립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뜻밖의 장면이 눈길을 끌었다. 베트남전 참전 공군 종대가 사상 처음으로 등장해 김일성광장을 행진한 것이다. 북한 조선중앙TV는 “비엣남(베트남)전쟁에 참가하여 수적·기술적 우세를 자랑하던 적의 공중 비적들을 무자비하게 박살내어 조선인민군의 본때를 남김없이 보여준 공군 종대가 나가고 있다”고 소개했다. 베트남 참전 사실을 숨기던 북한이 외부에 이를 당당히 공개한 것이다.

북한은 베트남전 초기 무기 10만 정, 군복 100만 벌 등 물자를 지원했다. 이후 전쟁이 본격화되자 1966년 말부터 공군과 공병부대를 ‘지원군’이란 이름으로 파병해 북베트남군을 지원했다. 공군력에서 열세에 몰린 북베트남은 소련과 중국에 먼저 조종사 파견을 요청했지만 모두 거절당했다. 북한만 1개 비행연대 규모에 해당하는 조종사 60명, 정비사 50명 이상을 보냈다. 조종사들이 수시로 순환근무를 했던 것을 감안하면 베트남전 기간 연인원 1000명가량의 북한 공군 병력이 참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베트남에 파병된 북한 조종사들은 황해도 황주 주둔 203비행연대 소속이었다. 베트남 공군복장으로 참전한 북한 조종사들은 하노이 주변 비행장에 주둔했다. 당시 김일성 수상은 “하노이 상공을 평양 하늘처럼 사수하라”고 지시했다.

북한은 또 공병부대를 파견해 북베트남 당 중앙위원회와 국방부가 들어갈 갱도를 건설했고, 약 100명의 심리전 부대도 파견해 한국군 전투지역에서 활약했다.


○ ‘혈맹에서 배반자로, 다시 동반자로?’


피로 맺어진 북한과 베트남 관계는 1975년 베트남 통일 후 식어갔다. 1978년 12월 베트남이 인근 캄보디아를 침공하자 북한은 “무력침공은 국제법 위반임과 동시에 사회주의에 대한 배신”이라고 비난했다. 이후 양국은 평양과 하노이에서 각각 대사관을 철수했다. 김일성은 베트남군에 의해 쫓겨난 노로돔 시아누크 캄보디아 국왕을 평양으로 데려와 1991년 귀국할 때까지 돌봤다. 1979년 2월 중국이 베트남을 침공했을 때에도 북한은 중국 편에 섰다.

북한과 베트남은 1984년 외교관계를 복원했지만, 이후에도 가까워질 기회를 좀처럼 찾지 못했다. 1986년 베트남이 자본주의 시장경제를 도입하는 ‘도이머이’ 개혁 정책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1992년 베트남이 한국과 수교하고 이어 1995년 미국과 수교한 것도 북한의 시각에선 배신이었다. 2004년 베트남이 자국에 입국한 탈북자 468명을 한국으로 한꺼번에 보냈을 때도 북한은 강력히 반발했다.

양국 관계는 2007년을 기점으로 조금씩 풀리기 시작했다. 이해 베트남에서 호찌민 주석 이후 처음으로 농득마인 총비서가 북한을 찾았고, 양국 우호관계를 발전시키자는 데 합의했다. 베트남을 통한 탈북자들의 한국행 루트도 막혔다.

현재 베트남은 공산당 체제를 유지하면서 개혁개방을 이루고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도 성공함으로써 북한이 배우고 싶은 ‘롤모델’로 떠오르고 있다. 김정은 위원장이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베트남 국빈방문 일정을 소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김정은 시대 북한과 베트남이 과거 ‘혈맹과 배반’의 역사를 넘어 ‘동반자’의 역사를 다시 쓸 수 있을지 주목된다.

호찌민=주성하 기자 zsh75@donga.com
#베트남#북한#역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