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帝 강제연행 中人 사망자수 배상 우려 1893명으로 축소발표

  • 입력 2002년 12월 24일 18시 26분


1950년 6·25전쟁 발발 이후 굳어진 동서냉전 시대에 일본의 외교는 어떻게 움직였을까. 일본 외무성은 1950, 60년대 기밀 외교문서를 24일 공개했다. 다음은 주요 내용 요약.

▽대북(對北) 접촉 금지(55년)〓일본 정부는 55년 10월 북한에 대해 무역 등 모든 접촉을 인정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이는 당시 수교교섭 중이던 한국측의 강력한 요구에 따른 것이다. 당시는 북한과 일본간의 관계가 활발하던 때다.

한국측은 “적(敵)인 북한과 관계를 갖는다면 한일관계를 끊겠다”며 수교의 전제조건으로 북한과의 관계 단절을 요구했다. 일본은 당시 한국이 미국 등 자유 진영 30여개국, 북한은 소련 등 공산 진영 11개국의 승인을 받은 점을 감안해 남북한의 중요성을 따져 대북접촉 금지 결정을 내렸다.

▽강제연행 중국인 사망자 축소(60년)〓일본은 태평양전쟁 중 일본으로 강제연행된 중국인 3만8000명 중 6800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했으나 60년 4월 발표 때 1893명으로 축소 발표했다.

외무성은 미일안보조약 문제에 대해 중국측이 강경한 입장이어서 사망자수를 사실대로 발표하면 배상 요구로 발전될 것을 우려했다. 강제연행된 중국인들은 전국 135개 탄광 등에 배치돼 잔혹한 노동을 강요당하다가 사망했는데 일본은 이후 63년 7월까지 4차례에 걸쳐 사망자 명단을 추가해 결국 6401명의 명단을 모두 공개했다.

▽‘두 개의 중국’ 승인 검토(61년)〓대만을 중국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간주하던 중 61년 3월 중공도 승인하는 문제를 극비리에 검토했다. 대만과도 국교를 유지하려는 ‘두 개의 중국’정책으로, 동서냉전 하에서 반공을 내세워 중국 봉쇄에 나섰던 미국과는 상반된 외교노선이었다. 이어 같은 해 이케다 하야토(池田勇人) 총리가 방미, 중공의 유엔 가입 허용을 제안했지만 존 F 케네디 미국 대통령이 난색을 표명했다.

▽닉슨, 평화헌법 개정 타진(67년)〓베트남전쟁 중인 67년 4월 미 정치인 리처드 닉슨이 방일해 “전후 20년이 경과했으니 헌법을 고쳐도 되지 않는가”라고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 총리에게 타진했다. 개헌을 통한 재군비로 아시아 안전보장의 핵심이 돼 달라는 요구였다. 그러나 사토 총리는 “평화와 민주주의에 기초한 헌법을 변경하기는 쉽지 않다”며 거절했다.

닉슨은 2년 후 대통령이 됐고 이어 아시아에서 미군을 철수시킨다는 내용의 ‘닉슨독트린’을 선언했다.

도쿄〓이영이특파원 yes202@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