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를 두고 복지 사각지대를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는 가운데 서울시가 시범 시행 중인 ‘안심소득’ 정책이 주목받고 있다. 안심소득은 기존 복지제도에 비해 신청 절차가 간단하고 수급 범위도 넓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 모든 사람에게 일정액을 지급하는 기본소득과 달리 소득에 따라 금액을 차등 지급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기존 복지제도보다 위기가구 지원에 적합한 제도”라고 설명했다.
○ 까다로운 ‘시험’ 없는 ‘안심소득’

여러 기준을 적용하는 기존 복지제도와 달리 소득 및 재산 기준만 충족하면 지원 대상이 된다.
이런 사각지대를 줄이기 위해 안심소득 수급 조건은 △월 소득 중위소득 85% 이하 △재산 3억2600만 원 이하로 정했다. 기준을 단순화하고 재산 기준을 기존 복지제도에 비해 폭넓게 설계한 것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금은 자동차 한 대만 갖고 있어도 복지급여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도 있다”며 “(안심소득 기준을 적용하면) 복지 사각지대에 있는 위기가구를 더 많이 발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2025년까지 안심소득 영향 분석
서울시는 올 7월부터 중위소득 50% 이하인 500가구를 선정해 안심소득을 지급하는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이 가운데 정부의 복지급여를 받지 않는 가구는 206가구(41.2%)다.내년 1월에는 중위소득 50∼85%인 300가구를 추가로 모집해 2년간 안심소득을 지급한다. 정부가 제공하는 각종 복지급여가 중위소득 50% 이하에 집중되는 점을 감안하면, 내년에는 지금까지 정부 복지급여를 못 받았던 이들이 주로 안심소득 수급 대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2025년까지 정기조사를 8번 진행하며 안심소득 지급의 영향을 면밀히 조사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일과 고용 △가계 관리 △교육훈련 △주거환경 △건강생활 △가족사회 △삶의 태도 등 7대 분야를 중심으로 안심소득이 수급자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게 된다.
사지원 기자 4g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