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의 해’는 밝았지만… 살아남은 야생 호랑이는 3900마리뿐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월 3일 03시 00분


코멘트

각국의 호랑이 실태와 복원 노력은

벵골호랑이 한 마리가 인도 카나국립공원을 거닐고 있다(위 사진). 아래쪽 사진은 영국 비영리단체 ‘트래픽’이 동남아 일대에서 호랑이 뼈와 가죽을 노린 불법 포획을 적발한 현장. 야생 호랑이 뼈는 근골격질환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지면서 부유층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 위키미디어·트래픽 제공
벵골호랑이 한 마리가 인도 카나국립공원을 거닐고 있다(위 사진). 아래쪽 사진은 영국 비영리단체 ‘트래픽’이 동남아 일대에서 호랑이 뼈와 가죽을 노린 불법 포획을 적발한 현장. 야생 호랑이 뼈는 근골격질환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지면서 부유층 사이에서 인기가 있다. 위키미디어·트래픽 제공
‘검은 호랑이’의 해인 임인년(壬寅年)을 맞아 새해엔 포효하는 호랑이의 기운을 받아 어려움을 극복하기를 소망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정작 자연에서는 호랑이의 우렁찬 울음소리를 들어보기 어렵다. 한때 한반도를 비롯한 시베리아와 터키 동부, 인도네시아에 이르기까지 아시아 전역에서 볼 수 있던 야생 호랑이는 현재 약 3900마리정도 밖에 남지 않은 것으로 추정된다. 1900년에는 전 세계 야생 호랑이가 10만 마리 정도였던데, 4% 수준으로 줄어든 것이다.

40년간 야생동물 불법거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영국 비영리단체 ‘트래픽’은 2000년~2018년까지 2300마리 이상의 야생 호랑이가 죽임을 당했다고 2019년 보고했다. 매년 평균 120마리가량 불법 포획된 것이다. 호랑이의 뼈와 가죽을 노린 인간의 탐욕 때문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연구팀은 호랑이 불법 포획이 성행하는 베트남에서 거래자와 거래 내용을 조사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자연보호’에 2월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야생 호랑이 뼈 불법 거래 성행


연구팀이 지난해 11월 인터넷을 통해 사전에 일부 공개한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일대를 중심으로 최근 호랑이 뼈 불법 거래가 성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랑이 뼈를 고압솥에 2, 3일 동안 녹여 만든 ‘뼈 아교’가 특히 인기를 끌고 있다. 다양한 근골격 질환과 성기능 강화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지면서 부유층들이 구매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제품 구매자들은 매일 와인이나 보드카에 뼈 아교를 섞어 마시고 있으며 1kg당 1만 5000달러(약 1776만원)를 기꺼이 지불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를 맡은 당 부 호이 남 덴마크 코펜하겐대 식품및자원경제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대부분 구매자는 야생 호랑이 뼈를 농장에서 사육된 호랑이의 뼈보다 더 선호한다”며 “구매자의 3분의 1은 여전히 야생 호랑이 뼈를 구매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태국, 베트남, 방글라데시, 인도 정부는 상황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2010년부터 호랑이 불법 포획 단속을 대대적으로 시작했다. 2015년 호랑이 밀렵꾼 단속을 시작한 방글라데시는 2019년 들어 15년 만에 처음으로 호랑이의 개체 수가 증가세로 돌아섰다.

●호랑이 개체 수 파악에 인공지능(AI) 동원


한편에서는 멸종 위기의 호랑이를 보전하고 복원하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그 시작점으로 호랑이의 수를 정확히 파악하는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인도 국립호랑이보호국은 2006년부터 호랑이 개체수를 조사해 4년마다 발표하고 있다. 가장 최근 통계인 2019년 발표에서는 4만4000명이 동원돼 호랑이 서식지를 돌아다니며 2만6760곳에 카메라를 설치해 7만6523장의 호랑이 사진을 촬영했다. 이를 통해 파악한 호랑이 서식지는 인도 전체의 국토의 86%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에는 정확한 호랑이 개체 수 확인을 위해 인공지능(AI)까지 투입하고 있다. 촬영한 사진에서 호랑이를 구분하는 작업에 AI 기술인 기계학습을 적용하고 있는 것이다. AI는 다른 계절, 다른 각도에 찍힌 호랑이들의 줄무늬 패턴 등을 분석해 같은 호랑이가 여러번 찍힌 것인지, 아니면 각각 서로 다른 개체인지 파악한다. AI 분석 결과 인도에 살고 있는 야생호랑이는 총 2967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2014년부터 매년 6%씩 늘어난 것으로 매우 고무적인 결과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같은 기간 서식지 면적이 20%가 줄어든 점을 우려하고 있다. 조사팀은 고립된 개체군 간의 연결성을 높이고 사람들이 주요 호랑이 서식지 밖으로 이동해 살도록 유도해야 한다는 해결책을 제시했다.

●국내 연구진, 러시아 연해주서 호랑이 복원 시도


국내에서도 호랑이 복원에 대한 노력은 이어지고 있다. 단 한반도 내에서의 복원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산림청은 한반도 내 호랑이 복원을 위해 1994년부터 중국에서 호랑이 10마리를 들여왔다. 하지만 2005년 국내로 들어온 호랑이 ‘두만’이 2020년 12월 만 19살의 나이로 숨지며 모든 호랑이가 번식에 실패하고 폐사했다. 전문가들은 야생 호랑이의 서식영역에 비해 수만 분의 1에 그치는 동물원이나 수목원을 옮겨가며 갇혀 산 것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현재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진을 중심으로 구성된 한국범보전기금이 러시아 연해주에 서식하는 야생 호랑이의 개체수를 안정적으로 늘리는 방향으로 복원을 시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러시아와 중국, 한반도 북부까지 확장되는 것을 기대하는 것이다. 이항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는 “호랑이의 이동 범위가 1000km에 이르기 때문에 그곳의 개체수가 늘면 언젠가는 남한 지역에서도 언젠가는 볼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동준 동아사이언스 기자 bios@donga.com
#검은 호랑이#임인년#호랑이 실태 복원 노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