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서 장관은 “병사들끼리 (밥을) 먹는데 간부들이 와서 부담을 주고 불편을 초래한단 이야기도 있다”면서 “모든 게 균형되게 조치되도록 예하부대에 강조하겠다”고 부연했다.
일각선 부대 지휘관이 병사들과 같은 공간에서 함께 밥을 먹는다면 병사 급식에 대한 간부들의 관심이 높아질 수 있을 거란 기대가 나온다. 국방부의 급식 관련 대책이 현장에 정착하기까진 일부 시간이 걸리는 만큼 당장의 불만을 잠재울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단 전망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선 ‘실효성 없는 조치’라는 비판도 동시에 제기된다. 병력을 운용하는 대대급 간부들은 이미 병사들과 같은 메뉴의 급식을 먹고 있으며, 최근 문제가 된 부실 급식은 일부 사각지대에 놓인 병사들에서 주로 발생했기 때문이라는 주장이다.
군 관련 전문가들은 이 같은 방안에 오히려 ‘부작용’을 우려하고 있다. 군 간부의 업무를 가중시킬 뿐 아니라 병사들이 식사하는 데 더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단 이야기다.
김영수 국방권익연구소장은 “부대 지휘관과의 식사 자리를 위해 시간을 조율하고 병사를 선정하는 일 등 결국 부대 업무가 늘어나게 될 것”이라며 “같이 먹는 병사들도 불편한 마음으로 한 끼 식사를 해야 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 소장은 특히 “지휘관의 주요 업무가 급식 점검이 아닌 만큼 지휘관 없이도 잘 나오는 급식이 필요하다”며 “누가 먹더라도 급식이 잘 나오는 체계를 마련해야지, 누군가의 눈치를 볼 때만 잘 나오는 급식은 의미가 없다”고 일침을 가했다.
방혜린 군인권센터 상담팀장은 지휘관과 병사들의 세대 차이에 따른 ‘역효과’를 걱정했다. 지휘관들이 병사들의 급식 불만을 단순 ‘투정’으로 치부할 수 있단 분석이다.
방 팀장은 “최근 군내 급식 문제가 불거진 건 그간 학교에서 질 좋은 급식을 먹던 신세대 장병들이 군에선 급격히 수준이 낮은 급식을 받게 됐기 때문”이라며 “과거부터 낮은 품질의 급식을 먹어 왔던 지휘관의 입장에선 ‘이 정도면 잘 나왔다’ ‘요즘 애들은 배가 불렀다’라는 식으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커 갈등이 심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