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구로구가 구청장 집무실 면적을 줄이면서 그 효과를 과대포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구로구는 27일 내놓은 보도자료를 통해 108㎡(약 32.7평)이던 구청장실을 3분의 1 수준인 34㎡(10.3평)로 줄이고 남는 공간에는 외부 건물에 세 들어 있던 1개 과를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외부 건물에 있던 과 하나가 청사 내로 이전하면 현재 3개 층을 빌려 쓰던 것을 1개 층만 빌리면 되기 때문에 보증금 12억 원이 4억 원으로 크게 줄어든다는 효과를 강조했다. 구청장 전용 화장실과 침실이 없어지면서 직원과 소통이 잘될 것이라는 효과도 강조됐다. 구로구는 이런 조치에 대해 ‘구로구 이성 구청장의 파격적인 내려놓음이 눈길을 끌고 있다’고 표현했다.
하지만 2000여만 원이 들어갈 구청장실 리모델링 평면도 확인 결과 비서실과 침실, 화장실 등을 포함한 현재 구청장실은 177.48㎡(53.7평)이고 리모델링 후 면적은 87.72㎡(26.5평)로 리모델링 후 남는 면적은 89.76㎡(27.2평)다. 여기에 12명이 근무하는 일자리 지원과가 들어오면 1인당 2평 남짓한 면적이 돌아간다.
이처럼 넓지 않은 공간이 사무실로 바뀌게 되는데 건물 3개 층을 빌려 쓰다 어떻게 1개 층만 빌릴 수 있는 것일까. 구로구 관계자는 “구청장실만 줄여서는 불가능한 일이고 구청 조직을 개편하면서 청사 건물 전체 공간을 재배치하기 때문에 임차 층수를 줄이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구청장실만 줄여서 생기는 효과가 아니라는 말이다.
그런데도 마치 구청장실 면적을 줄여 임차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거둔 것처럼 홍보하는 것은 과대포장이라는 지적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