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재옥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지금 민생을 챙기지 못하고 있는 것은 우리 국회이고, 야당 지도부의 파트너는 여당 지도부이지 대통령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윤 원내대표는 “구속영장 기각이 이 대표의 여러 범죄혐의에 대한 면죄부도 아니고 영장 전담판사도 위증교사 등의 범죄는 소명됐다고 하니, 이 대표는 본인 신상 문제로 국회를 공전에 빠트린 데 대해 사과부터 했어야 한다는 게 추석에 접한 민심이었다”며 “이 대표가 정말로 민생에 몰두하고 싶다면 여야 지도부 간 대화 채널을 실효적으로 복원하는 게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박대출 정책위의장도 “이 대표가 12월 정기 국회까지 정쟁을 멈추고 민생 해결에 몰두하자고 제안한 것을 환영한다”면서도 “말로만 민생을 외칠 게 아니라 행동으로 실천해야 하는 것이다. 그 해법은 이 대표가 말하는 영수회담이 될 수 없다”고 꼬집었다.
박 정책위의장은 “진정으로 민생을 생각한다면 영수회담이 아니라 민주당이 외면해온 민생 외상값부터 값는 게 도리일 것”이라며 “여야의 마당은 국회다. 국회에서 여야가 머리를 맞대고 민생을 위한 해법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우주항공청 설치 특별법, 국가재정법, 채용절차 공정화법 등을 민생법안으로, 노란봉투법과 방송3법을 정쟁법으로 규정한 뒤 “민생을 외치면서 정쟁법안을 밀어붙이면 국민을 기만하는 양두구육일 수 밖에 없을 것”이라며 “이 대표가 말한 민생이 진짜라면, 민주당이 민생을 챙길 진정성이 있다면 정쟁법 포기선언부터 해야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여당 교육위원회 간사인 이태규 의원은 “대통령과 마주앉음으로서 사법리스크에 갇혀있는 자신의 비정상적 위치를 마치 정상화된 것처럼 보이게 하려는 착시현상을 노린 것”이라며 “가계부채와 국가 채무, 외교 전략, 에너지 정책 등 이 대표의 회담 제안 이유와 배경을 보면 문재인 정권의 정책실패와 자신들이 만든 정치질서를 그대로 그냥 가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 대표 스스로 자신이 말하는 영수회담은 민생이 아닌 자신의 지지층 강화를 위한 쇼에 불과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진심으로 민생에 관심이 있었다면 소득주도성장, 통계 조작, 집값 폭등, 국가채무 폭등, 탈원전 등 지난 정권의 잘못을 바로잡는 데 협조하고 노동·교육·연금의 3대 개혁을 함께 하자고 말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