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113번 최다 언급… ‘고용’이 국정 최우선 과제로

  • 동아일보
  • 입력 2013년 7월 30일 03시 00분


코멘트

[박근혜 리더십]<上> 국무회의-수석비서관회의서 쏟아낸 말말말

《 대선 전과 대선 후, 박근혜 대통령의 화법은 확연히 달라졌다. 대선 전 박 대통령은 할 말만 짧게 하는 ‘단문 스타일’이었지만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때부터 ‘다변 스타일’로 바뀌었다. 메시지에도 변화가 있다. 29일 박 대통령이 취임 후 5개월여 동안 26차례의 국무회의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쏟아낸 12만198자를 동아일보가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이 언급된 단어는 ‘일자리’였다. 》

○ 취임 후 일자리 쪽으로 확 쏠려

박 대통령은 지난해 7월 10일 대선 출마를 선언하면서 국민 행복을 위한 3대 핵심과제로 ‘경제민주화 실현’ ‘일자리 창출’ ‘한국형 복지의 확립’을 꼽았다. 대선 기간 내내 박 대통령은 이 3가지 과제에 맞춰 다양한 공약을 제시했다.

그러나 취임 이후 이 3가지 핵심과제의 균형은 깨졌다. 박 대통령은 26차례 회의 동안 ‘일자리’라는 단어를 113번이나 사용하며 압도적으로 높은 관심을 보였다. 비슷한 뜻을 가진 ‘고용’이라는 단어도 61번 언급했고 ‘창업’과 ‘취업’이라는 단어도 각각 13번, 12번을 썼다.

반면 ‘복지’는 51번 언급했고, ‘경제민주화’는 14번 사용하는 데 그쳤다. 박 대통령이 대선 기간 거의 쓰지 않았던 ‘성장’(21번)보다 언급 횟수가 적었다. 다만 ‘중소기업’(54번)을 ‘대기업’(12번)보다 훨씬 많이 사용해 경제민주화의 맥은 이어간 것으로 분석됐다. 청와대 관계자는 “경제민주화는 대선 이후 여야가 뜻을 같이하면서 대부분 국회에서 법이 통과돼 기반이 마련됐다”며 “고용률 70% 달성이라는 목표가 시급하다 보니 일자리를 많이 강조했고 이 기조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안전’이라는 단어를 93번이나 사용했다. 대선 때부터 4대악(학교폭력, 성폭력, 가정폭력, 불량식품) 근절을 강하게 내세웠지만 취임 이후 어린이집 안전사고, 원전 부품 비리와 홍수 피해를 비롯한 여름철 각종 안전사고까지 겹치면서 언급하는 빈도가 늘어났다.

대선 때보다 대통령의 관심이 크게 증가한 분야가 ‘문화’와 ‘교육’이다. 박 대통령은 4대 국정기조로 ‘문화융성’을 정한 이후 인문, 문화, 가치 등에 높은 관심을 보여 왔다. ‘문화’를 91번, ‘교육’을 71번 언급했다. 반면 역대 대통령들이 정권 초기에 많이 사용하는 단어 중 하나인 ‘개혁’은 13번밖에 언급하지 않았다. 박 대통령은 대선 전에도 개혁이라는 단어를 잘 쓰지 않는 편이었다. 이 밖에 박 대통령이 평소 즐겨 쓰는 ‘행복’은 57번, ‘신뢰’는 38번 언급했고, 취임 후 정부 부처에 꾸준히 강조하고 있는 ‘협업’은 54번 사용한 것으로 분석됐다.

○ ‘돌직구’에서 세세한 화법으로

대선 때 참모들이 각종 비유를 활용하거나 대통령의 자서전에 있는 에피소드를 인용하면서 부드럽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메시지 초안을 작성해 오면 박 대통령은 단문 형태의 ‘돌직구’ 스타일로 바꿨다. 메시지의 본뜻을 흐트러뜨리지 않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유에서였다. 취임 이후엔 대선 때보다 비유와 인용이 훨씬 많아져 내용이 풍부해졌다.

4월 29일 수석비서관회의 때는 모든 부처가 일자리 창출을 우선시해줄 것을 당부하면서 “돋보기로 종이를 태울 때도 초점이 맞춰져야 태울 수 있는 것이지 초점이 흐트러지면 종이를 태울 수 없다”고 했다. 예산을 필요한 곳에 집중 투입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지난해 ‘세계식량상’을 수상한 이스라엘 과학자의 ‘점적 관개법’(꼭 필요한 곳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공급)을 인용하기도 했다. 때로는 ‘대통령이 이런 것까지?’라는 의문이 들 정도로 챙기는 주제도 상당히 광범위해졌다.

자신이 직접 대안을 제시하기도 한다. 박 대통령은 5월 13일 수석비서관회의 때 “U-헬스(정보통신 기기를 이용한 실시간 환자 관리)의 경우 산간벽지나 오지마을, 도서지역 등 의료 혜택이 오기 어려운 곳부터 시범적으로 해보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4월 23일 국무회의 때는 “사회복지사의 수를 늘려야 하지만 재정 여건상 불가능하다면 각 지역에서 열정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소규모 단체나 모임과 협업을 이루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제시했다.

그는 사회 안전에 대한 안일한 인식이나 부정부패와 같은 비리, 역사 왜곡 문제, 관료의 타성에 젖은 인식 등에 대해서는 ‘절대’ ‘용납’ ‘특단’ 등의 단어를 사용하며 강한 어조로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동정민 기자 ditto@donga.com
정윤아 인턴기자 덕성여대 정치외교학 4학년

#박근혜 리더십#고용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