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지하 1000m로 내려간 물리학자들[이기진 교수의 만만한 과학]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2월 1일 23시 21분


코멘트
이기진 교수 그림
이기진 교수 그림
가끔 선후배 모임에 가면 세상을 살면서 많은 걸 이룬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 대화 중에 “내가 다 해봐서 아는데”, “내가 제일 잘 아는데” 이런 말들을 불쑥불쑥 꺼낸다.

나는 구석에서 주로 듣는 사람이다. 이런 이야기를 들으면 별나라의 이야기처럼 들린다. 어떻게 다 알 수 있을까? 모임이 끝나고 지하철을 타고 오는데,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래도 나는 내세울 게 없는 물리학자인 게 참 다행이다.’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
새벽에 학교에 가서 수업을 하고 연구실 책상에서 논문을 쓰다가 실험실에서 연구원들과 연구하는 일이 생활의 전부인 물리학자. 연구원들과 주로 하는 반복적인 대화는 이런 것들이다. “왜 안 되지?”, “그래, 한 번 더 해보자”. 하루가 끝날 땐 “내일 다시 생각해 보자”라는 말을 가장 많이 한다. 결론이 없는 하루하루. 불확실한 것투성이의 하루하루.

물리학자의 관점에서 보면 우리가 알고 설명할 수 있는 세상은 4%밖에 안 된다. 인류는 우주를 이루는 물질의 4%만을 설명할 수 있고, 나머지는 아직 모른다. 모르는 96%는 암흑물질이 23%, 암흑에너지가 73%를 차지한다. 우리는 고작 4%에 의지해 세상을 이해하고 있는 셈이다.

암흑물질을 세상에 처음 알린 사람은 여성 과학자 베라 루빈이었다. 1975년 루빈이 암흑물질의 존재를 미국천문학협회에서 발표했을 때, 세상은 그녀의 이론을 철저히 무시했다. 루빈 박사는 그 충격으로 인해 몇 년 동안 우주론을 접어두고, 집안 살림에 매달렸다고 한다. 하지만 컴퓨터 모형 덕분에 루빈이 옳았음이 입증되었고, 1980년대에 들어 다시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암흑물질 후보로 꼽히는 대표적인 입자 중 하나가 중성미자다. 중성미자는 탐지하기 어려운 입자로, 모든 사물을 통과할 정도로 작고, 다른 입자들과 상호작용 없이 모든 것을 투명하게 통과한다. 이 탐지하기 어려운 입자들은 우주 공간 속에 존재하면서 우리 몸을 통과하고 나서도 별 어려움 없이 땅속을 뚫고 들어가서 지구 반대편으로 나온 뒤 이동을 계속한다. 이런 특성을 가진 중성미자를 탐지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중성미자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지상의 우주선(宇宙線)이 차단되는 깊숙한 지하가 필요하다. 최근 중국에서는 지하 2400m 깊이에 크기 33만 m³에 달하는 진핑 지하실험실이 만들어져 가동이 시작되었다. 지상에 비해 1억분의 1 정도 극소량의 우주선만이 영향을 끼친다고 한다.

크기는 작지만 우리나라에도 지하 실험시설이 있다. 강원 정선군 예미산에 위치한 지하 1000m 깊이의 ‘예미랩’이 그곳이다. 예미랩은 7년여의 공사 끝에 지난해 완공됐는데, 현재 한국의 물리학자들이 이 깊숙한 땅속에서 암흑물질의 후보가 될 만한 입자를 찾는 중이다. 예미랩이 완성되기 전에는 강원 양양 양수 발전소 내 지하 700m에 위치한 터널 한쪽에서 연구가 진행됐었다.

과연 우리 인류는 암흑물질을 발견할 수 있을까? 기존의 지식에 머무르지 않고 미지의 세계로 겁 없이 뛰어드는 것, 나는 무엇보다도 이런 물리학자의 자세가 좋다. 어쨌거나 상상의 세계, 잘 모르는 세계를 향해 열려 있는 마음은 언제나 옳다.

이기진 서강대 물리학과 교수


#정선 지하#물리학자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