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체절명의 순간 왕들이 택한 피란처, 공산성[이한상의 비밀의 열쇠]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5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용무늬가 새겨진 청동거울. 중국 청동거울을 본떠 만든 것으로 보인다. 국립공주박물관 제공
용무늬가 새겨진 청동거울. 중국 청동거울을 본떠 만든 것으로 보인다. 국립공주박물관 제공
이한상 대전대 역사문화학전공 교수
이한상 대전대 역사문화학전공 교수
1624년 정월, 평안병사 이괄이 난을 일으켰다. 정예병 1만의 반란군이 파죽지세로 남하하자 조선 조정은 큰 혼란에 빠졌고 인조는 급기야 몽진을 결정했다. 설왕설래 끝에 차령 이남의 공주가 피란처로 결정됐다. 가슴 졸이며 공주에 도착한 왕은 감영이 아닌 공산성에 머물기로 했다. 혹 생길지 모를 위협에 대비하려 함이었다. 머지않아 이괄의 난이 진압되고 이괄의 수급을 눈으로 확인하기까지 그는 불면의 밤을 보냈다.

인조보다 더 절박한 심경으로 공산성을 찾은 왕들이 있었다. 475년 고구려 장수왕의 기습을 받아 왕도 한성을 잃은 채 웅진으로 천도한 백제 문주왕이 그 가운데 한 명이다. 상대는 반란군이 아니라 고구려의 대군이었기에 그가 지닌 두려움은 더 컸을 것이다. 백제 의자왕도 660년 나당 연합군의 공세로 사비성이 함락될 위기에 처하자 공산성으로 피신했다가 그곳에서 항복했다. 이처럼 여러 왕들은 위기의 순간마다 ‘천혜의 요새’ 공산성을 떠올렸다. 공산성은 어떤 곳이고 그곳에서는 어떠한 역사의 흔적이 발굴되었을까.
○ 발굴 개시 약 40년 만에 찾은 ‘대궐의 문’
사비로 다시 천도하기까지 웅진은 백제의 왕도였다. 63년이라는 길지 않은 기간이었음에도 이 시기에는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 성왕 등 5명의 왕이 재위했다. 그 가운데 문주왕과 동성왕은 신하에게 시해됐고 삼근왕은 어린 나이에 석연치 않은 죽음을 맞았다.

웅진이 현재의 공주임은 분명하지만 일제강점기 이래 왕궁이 어디에 있었는지 논란이 벌어졌다. 공산성 안에 있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대세였지만 고구려나 사비기 백제의 사례를 들면서 공산성 밖에서 찾아야 한다는 주장도 꾸준히 제기됐다.

1980년에 이르러 공주대박물관은 웅진기 백제의 왕궁을 찾기 위한 발굴에 착수했다. 10월 초부터 그해 말까지 4차에 걸쳐 공산성 내외 곳곳을 파 보았지만 왕궁지로 지목할 만한 곳은 찾지 못했다. 1985년에 이르러 왕궁지의 단서를 찾았다. 이괄의 난 때 인조가 머물렀던 쌍수정 앞 넓은 뜰에서 대형 건물지 여러 동과 함께 석축 연못, 지하 창고 등이 확인됨에 따라 조사단은 그곳을 왕궁지로 특정했다.

그러나 반론도 만만치 않았다. 발굴품 가운데 다수가 사비기 백제나 통일신라 때의 것이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쌍수정 앞뜰에는 왕궁지가 아닌 ‘추정왕궁지’란 이름이 붙여졌다. 이어 성 내외 곳곳을 발굴했지만 그 어느 곳에도 왕궁의 흔적은 없었다. 그러던 차에 2018년 말부터 이듬해 봄까지 진행된 발굴에서 왕궁의 위치를 알려주는 결정적 실마리가 드러났다. 공산성의 남문인 진남루와 추정왕궁지 사이에서 ‘대궐의 문’에 해당하는 문궐(門闕) 흔적이 발견된 데 이어 쌍수정 주변에서 대규모 토목공사를 벌여 만든 대형 건물의 기초부가 확인됐다. 이 발굴을 통해 웅진기 백제 왕궁의 위치가 쌍수정 앞뜰이었음이 분명해졌다.
○ 지하 깊숙이 숨겨진 ‘백제 최후의 날’
충남 공주 공산성에서 발굴된 검은색 갑옷 조각(큰 사진). 붉은 글자인 ‘행정관십(行貞觀十)’, 
‘구년사월이십일일(九年四月x一日)’은 백제 의자왕 5년인 ‘645년 4월 21일’이란 뜻으로 백제가 멸망하던 시기 땅에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작은 사진은 건물 추녀 끝에 장식하던 기와인 수막새. 공주대 역사박물관·국립공주박물관 제공
충남 공주 공산성에서 발굴된 검은색 갑옷 조각(큰 사진). 붉은 글자인 ‘행정관십(行貞觀十)’, ‘구년사월이십일일(九年四月x一日)’은 백제 의자왕 5년인 ‘645년 4월 21일’이란 뜻으로 백제가 멸망하던 시기 땅에 묻힌 것으로 추정된다. 작은 사진은 건물 추녀 끝에 장식하던 기와인 수막새. 공주대 역사박물관·국립공주박물관 제공
수십 년간 진행된 공산성 발굴의 하이라이트는 옻칠 갑옷이 발견된 순간이다. 2011년 4월 공주대박물관 조사단은 공북루 앞 광장에서 발굴에 착수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그곳에 큰 마을이 있었기에 백제 유적은 대부분 훼손된 것으로 여겼다. 하지만 시굴 조사 때 지하 5∼7m 지점에 백제 유적이 남아 있음을 확인했기에 정밀조사를 시작한 것이다.

퇴적토가 워낙 두꺼워 발굴이 만만치 않았다. 켜켜이 쌓인 흙을 조심스레 걷어낸 다음 백제 때의 생활면까지 도달하는 데 몇 달이 걸렸다. 9월 하순에 이르러 펄이 가득 채워진 구덩이 속에서 유물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토기와 기와 조각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10월 초, 놀라운 유물이 출토됐다. 꽃삽으로 펄을 조금씩 제거하던 이현숙 학예사는 보존 상태가 완벽한 옻칠 갑옷 조각을 발견한 데 이어 검은색 갑옷 조각에 유려한 필체로 써내려간 붉은색 글자들을 찾아냈다. ‘행정관십구년(行貞觀十九年)’. 정관은 당나라 연호로, 19년은 645년이며 백제 의자왕 5년에 해당한다. 유물 노출 작업은 계속됐고 여러 관청의 명칭, 이씨 성을 가진 인명이 쓰여 있는 갑옷 조각을 추가로 찾아냈다. 옻칠 말갑옷, 철제 갑옷 조각, 은으로 장식된 큰칼도 출토됐다.

조사단은 옻칠 갑옷의 출토 맥락을 검토한 뒤 ‘백제산 갑옷을 의자왕 혹은 그에 준하는 인물이 사용하다가 패망 시점에 묻은 것’으로 추정했다. 이 견해에 대해 갑옷의 주인을 당나라 장수로 보아야 한다는 반론이 제기됐다. 갑옷에 쓰인 관청명이나 인명이 백제의 기록에서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이 주요 논거이다. 이 갑옷의 주인이 패망한 백제 의자왕 혹은 왕족인지, 백제를 패망시킨 당나라 장수인지 단정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 갑옷이 백제 ‘최후의 날’을 전후해 땅에 묻혔음은 분명해 보인다.
○ 여전히 풀지 못한 공산성의 비밀
국내에서 공산성처럼 백제, 통일신라, 고려, 조선에 이르기까지 연이어 방어시설로 활용된 사례는 찾기 어렵다. 백제 패망 후 그 터에 여러 시기에 걸쳐 새로운 건물이 지어짐에 따라 백제의 흔적은 상당 부분 지워졌다. 다만 저지대의 경우 지속적으로 토사가 퇴적되면서 백제의 흔적이 봉인됐고 천수백 년 후 그 흔적이 발굴로 드러났다.

40년 이상 발굴이 지속되면서 여러 시기의 유적과 유물이 차례로 드러났는데 특히 백제와 관련된 것으로는 왕궁, 관아, 공방, 연못, 도로 등이 발굴됐고 건물 지붕을 장식했던 각종 기와, 일상에서 사용한 토기, 전장에서 쓰던 갑옷과 무기 등이 쏟아졌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공산성을 문주왕 때 처음 쌓았는지, 궁궐 내 전각은 언제 만들어졌고 어떻게 배치되어 있었는지, 동성왕 때 세운 임류각은 어디에 있는지, 무왕은 사비의 궁궐을 수리할 때 왜 한동안 공산성에 머물렀는지 등은 지금도 여전히 풀지 못한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앞으로의 발굴과 연구를 통해 그러한 비밀이 차례로 밝혀지길 바란다.


이한상 대전대 역사문화학전공 교수
#공산성#백제#공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