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장관으로 내정된 존 케리 상원 외교위원장(매사추세츠·64)은 힐러리 클린턴 장관보다 대화를 중시하는 유화적 외교정책을 펼칠 것으로 외교 전문가들은 16일 평가했다. 케리의 대북정책은 대화에 우선순위를 두지만 최근 장거리로켓 발사 후 경색된 북-미 간의 분위기로 볼 때 당분간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CNN 등은 케리의 외교정책에 대해 “버락 오바마 2기 행정부의 외교정책에서는 ‘대화’ ‘포용’이라는 단어가 지금보다 많이 등장할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케리가 국무장관에 임명된 뒤 가장 먼저 다뤄야 할 국가로 북한 시리아 이란을 지목했다.
케리는 2004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시절 “미국과 북한의 직접 대화를 통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겠다”고 공언했으며 북한의 도발이 이어질 때도 “인도적 차원의 대북 식량지원은 필요하다”고 밝히는 등 미 정치권의 대표적인 대북 포용론자로 통한다.
그러나 케리는 최근 북한 장거리로켓 발사와 관련해 외교위원장으로서 성명을 내고 북한을 비난했으며 북한의 핵개발을 절대 용납할 수 없으며 제재를 강화해야 한다는 강경 입장을 내비쳤다. CNN은 케리 차기 국무장관은 북한이 국제사회 의무를 준수하지 않는 한 대화를 서두르지 않는다는 오바마 행정부의 정책을 충실히 따를 것으로 전망했다.
케리는 미국의 일방주의보다 다자협력 체제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오바마 대통령과 일맥상통하지만 오바마 대통령보다 ‘협력’에 더 무게를 둔다는 점에서 갈등의 소지도 있다. 케리가 시리아 이란 북한 등 적성국에 지나친 포용정책을 펼치면 미국의 이해관계에도 해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WSJ는 “30년 동안 상원 외교위원회에서 활동하고 2008년 이후 외교위원장을 맡은 케리는 여러 건의 외교 임무를 맡아 특사로 활동한 경력이 있다”며 “특히 갈등관계를 빚는 동맹국과의 관계 복원에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케리는 지난해 오바마 대통령의 파키스탄 특사로 나서 오사마 빈라덴 사살 후 악화된 파키스탄과의 외교관계를 복원시켰다. 2009년에는 아프가니스탄에 급파돼 하미드 카르자이 대통령과 협상으로 선거부정 사태 문제를 매듭지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