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군 거점 하마 공격… ‘홈스 학살’ 이어 최대규모
안보리 ‘무력사용 제재조치’ 러-中 반대로 난항
지난달 6일 정부군의 공격으로 최대 100명이 사망한 시리아 하마에서 한 달여 만에 다시 대규모 민간인 학살이 벌어졌다. 잇따른 정권 이너서클(핵심 권력집단)의 이탈로 타격을 입은 바샤르 알아사드 정부가 대대적인 단속에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미국 CNN방송은 반정부단체인 시리아지역조정위원회(LCC)의 말을 인용해 12일 정부군이 반정부세력의 거점인 하마를 공격해 약 220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희생자 대부분은 민간인으로 알려졌다. LCC의 주장이 사실일 경우 약 260명이 사망한 2월 3일 홈스 학살에 이어 단일 공격에 의한 최대 인명 학살로 기록될 상황이다.
야권 운동가들에 따르면 이번 하마 학살은 트렘세 마을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학살 방식은 이전과 차이가 없었다. 정부군은 오전 5시부터 약 7시간 동안 무장 헬리콥터와 탱크를 이용해 마을을 포위한 채 포격을 퍼부었다. 이후 탱크를 앞세우고 친정부 민병대 샤비하와 함께 마을로 들어와 눈에 띄는 사람들을 무차별적으로 살해했다. 이날 학살에 대해 코피 아난 유엔 특사는 “충격적이고 소름끼친다. 이는 명백한 평화안 위반”이라며 강력하게 규탄했다.
LCC는 “하마와 수도 다마스쿠스 인근을 포함한 시리아 전역에서 정부군 공격으로 287명이 사망해 시리아 유혈사태 발생 후 하루에 가장 많은 사망자를 기록했다”고 주장했다. 수도 다마스쿠스 인근에서 정부군 공격으로 12명이 사망했고 수도 근교의 샤구르는 정부군 저격수가 건물 지붕을 점령한 채 도시 전체를 포위했다. LCC는 “수도 근교의 나헤르아이샤에서는 정부군이 정부의 트렘세 공격에 항의하는 시위대를 향해 발포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이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미국 등 서방 국가들이 제시한 유엔 헌장 7장을 적용하는 내용의 대(對)시리아 결의안 작성을 둘러싸고 힘겨루기를 했다. 그러나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은 서방이 제안한 결의안 초안을 거부했다. 유엔 헌장 7장은 국제 평화와 안전의 유지 및 회복을 위해 특정 국가를 상대로 제재를 가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무력 사용까지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한편 월스트리트저널은 미 관리의 말을 인용해 시리아 정부가 보유하고 있던 화학무기 일부를 저장시설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기 시작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화학무기금지조약에 서명하지 않은 시리아는 중동에서 가장 많은 생화학무기를 보유한 국가 중 하나로 알려졌다. 사린가스, 겨자가스 등 시리아의 화학무기 비축량은 베일에 싸여 있다. 미국은 시리아 사태가 악화되는 과정에서 화학무기의 이동을 주시해 왔다. 하지만 화학무기 이동을 두고 미국 내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일부에서는 알아사드 정권이 반군을 공격하거나 집단 학살할 의도를 갖고 있다고 우려한다. 반면 실제로 사용하려는 의도가 아니라 미국과 반군을 위협하기 위한 목적이라는 분석도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