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한시를 영화로 읊다

기사 79

구독 12

날짜선택
  • 광대들의 공연 후 남은 것은 정적뿐… 허무가 밀려온다

    광대들의 공연 후 남은 것은 정적뿐… 허무가 밀려온다

    광대들의 공연을 보고 쓴 한시를 연희시(演戲詩)라고 부른다. 조선 후기 신위(申緯·1769∼1845)는 연희를 보고 다음 시를 남겼다. 전체 12수로 이루어진 이 연작시엔 당대의 유명 광대들이 공연한 각종 연희가 생동감 있게 그려져 있다. 특히 ‘춘향가’를 부르는 창자의 모습과 인…

    • 2024-04-1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식자우환의 고통, 내 자식은 모르길…”

    “식자우환의 고통, 내 자식은 모르길…”

    중국 풍습에 아이가 태어난 지 3일째 되는 날 사람들을 초대해 잔치를 베풀며 아이의 몸을 씻기는 것을 ‘세아(洗兒)’라고 한다. 송나라 소식(蘇軾)도 늦둥이 아들의 목욕 모임을 기념하여 다음 시를 썼다. 아이가 총명하길 바라는 것은 부모의 인지상정이지만 시인은 반대로 어리석길 바랐…

    • 2024-03-28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십자가를 감추고 ‘배교’한 척해야 했던 그들

    십자가를 감추고 ‘배교’한 척해야 했던 그들

    이준익 감독의 영화 ‘자산어보’(2021년)는 신유박해(1801년) 때 정약전, 약종, 약용 삼형제가 각기 배교와 순교를 선택했던 일로 시작된다. 정약용은 이보다 앞서 조선 천주교회 창립의 주역이었던 이벽(李檗·1754∼1786)의 죽음을 애도한 바 있다. 이벽의 세례명은 요한. 시인…

    • 2024-03-14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지나온 삶 돌이켜보니 빗물에 떠밀려 내려간 ‘목인’과 다를 바 없네

    지나온 삶 돌이켜보니 빗물에 떠밀려 내려간 ‘목인’과 다를 바 없네

    ‘목인(木人)’은 글자대로라면 나무 인간이란 뜻이다. 한시에서 ‘목인’의 전고(典故·전거로 삼은 옛일)로 자주 등장하는 것은 비가 내리면 물에 떠내려갈 수밖에 없는 나무 인형 이야기다. 전국시대 소대(蘇代)가 진(秦)나라의 위험한 초대에 응하려는 맹상군(孟嘗君)을 이 비유로 만류한 바…

    • 2024-02-29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세상’이란 줄에 매달려, 조종 당하는건 아닌지… 덧없는 우리네 삶이여

    ‘세상’이란 줄에 매달려, 조종 당하는건 아닌지… 덧없는 우리네 삶이여

    인형극에 사용되는 인형을 괴뢰(傀儡·꼭두각시)라고 한다. 당나라 양굉(梁鍠)은 꼭두각시 공연을 본 뒤 다음과 같이 읊었다. 중국에선 일찍부터 ‘괴뢰희(傀儡戱)’라고 불리는 인형극이 발달했다. 주(周) 목왕(穆王) 때 언사(偃師)가 만든 인형은 사람과 똑같이 노래하고 춤출 수 있었다…

    • 2024-02-15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잠 못 이루는 밤에 달빛을 바라보다… 고향 그리움에 울컥

    잠 못 이루는 밤에 달빛을 바라보다… 고향 그리움에 울컥

    장률 감독의 영화에선 익숙한 한시가 색다른 울림을 빚어낸다. ‘춘몽’(2016년)에서 고향 연변을 떠나 아빠를 찾아 한국에 온 예리는 식물인간이 된 아빠 병 수발에 차츰 지쳐간다. 예리는 달 밝은 밤 고향주막에서 당나라 이백의 시를 읊는다. 시인은 침상 앞을 비추는 달빛을 땅 위에 내…

    • 2024-02-0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삶과 죽음은 한바탕 꿈… 짧은 잠 자고나면 죽음아, 넌 죽으리

    삶과 죽음은 한바탕 꿈… 짧은 잠 자고나면 죽음아, 넌 죽으리

    병이 육신을 괴롭힐 때 우리는 나에게 왜 이런 병이 찾아왔을까를 고민하게 된다. 마이크 니컬스 감독의 ‘위트’(2001년)에서 에마 톰프슨이 연기한 주인공은 극심한 고통 속에서도 위트를 잃지 않는다. 고려시대 이규보(李奎報·1168∼1241)도 병에 대처하는 자세를 다음과 같이 재치 …

    • 2024-01-1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흐르는 세월 아쉽지만… 시간에 연연하지 말고, 사진처럼 기억하기를

    흐르는 세월 아쉽지만… 시간에 연연하지 말고, 사진처럼 기억하기를

    2023년 달력의 끝이 다가온다. 송나라 소식(1037∼1101)은 1062년 연말 동생에게 부친 시에서 한 해를 보내는 아쉬움을 이렇게 썼다. 옛 풍속에 세밑이 가까워질 때 친지와 더불어 마시고 즐기며 한 해를 보내는 모임을 ‘별세(别歲)’라고 불렀다. 오늘날의 송년회를 연상시킨…

    • 2023-12-28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거울속 늙은 얼굴 보며, 쉰살 넘어 얻은 깨달음… 마음 편히 살아가리니

    거울속 늙은 얼굴 보며, 쉰살 넘어 얻은 깨달음… 마음 편히 살아가리니

    영화학자 자크 오몽은 영화 속에서 얼굴이 가장 민감한 이미지의 영역이라고 설명한다(‘영화 속의 얼굴’). 한시에서도 얼굴은 민감한 소재로 그림, 거울, 물 등 얼굴을 응시할 수 있는 매개물을 통해 ‘나 자신이기도 한 타자’를 주목했다. 당나라 백거이도 자신의 얼굴에 특별한 관심을 가졌…

    • 2023-12-07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약속 지키지 않는 친구에 화 안 내고 일깨운 소년… 적과 맞선 마지막도 그다웠다

    약속 지키지 않는 친구에 화 안 내고 일깨운 소년… 적과 맞선 마지막도 그다웠다

    어린이가 지은 한시를 동몽시라고 부른다. 동몽(童蒙)이란 말에는 어리고 우매하다는 의미가 있지만, 어린이가 쓴 시라고 가볍게 볼 건 아니다. 조선시대 김여물(1548∼1592)이 열두 살 때 쓴 시는 다음과 같다. 시는 약속을 지키지 않은 친구에게 말하는 내용이다. 잘못한 친구에게…

    • 2023-11-23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또 떠나는 시집간 딸, 예고된 영원한 이별… ‘딸바보’ 아빠의 슬픔

    또 떠나는 시집간 딸, 예고된 영원한 이별… ‘딸바보’ 아빠의 슬픔

    영화 ‘팔도강산’(1967년)에서 노부부는 1남 6녀의 자식들을 만나려 전국을 일주한다. 강원 속초에 사는 여섯째 딸은 어려운 살림살이에도 효심이 깊어 더 애틋하다. 전통사회에서 시집간 딸을 ‘출가외인’으로 치부했다지만, 자식에 대한 사랑만큼은 달라지지 않았다. 딸을 두고 읊은 한시가…

    • 2023-10-12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자식 잃은 슬픔엔… 그저 공감하고 분노할뿐

    자식 잃은 슬픔엔… 그저 공감하고 분노할뿐

    한시에서 자식 잃은 슬픔을 적은 작품을 ‘곡자시(哭子詩)’, ‘도자시(悼子詩)’, ‘실자시(失子詩)’라고 부른다. 당나라 한유는 친구 맹교를 위해 장편의 ‘실자시’를 써준 적이 있다. 시는 다음과 같이 시작된다. 맹교는 이 무렵 어린 세 자식을 연이어 잃고 비탄에 빠져 있었다. 스스로…

    • 2023-09-28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일제에 맞선 의병장… 죽음의 순간에서도, 불굴의 정신 안꺾여

    일제에 맞선 의병장… 죽음의 순간에서도, 불굴의 정신 안꺾여

    한시에서 사형 전 마지막 심경을 적은 시를 임형시(臨刑詩)라고 한다. 임종시(臨終詩)나 절명시(絶命詩)와 달리 강제된 죽음에서 비롯되는 비극성이 있다. 구한말 의병장 이강년(1858∼1908)은 다음과 같은 임형시를 남겼다. 시인은 을미사변이 발생하자 가산을 털어 의병을 일으킨 뒤…

    • 2023-09-14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
  • 지난 잘못 돌아볼 때도, 영화 찍는 감독 나이도 50, 쉰살… ‘知非’였네

    지난 잘못 돌아볼 때도, 영화 찍는 감독 나이도 50, 쉰살… ‘知非’였네

    전통 사회에서 50은 중요한 숫자였다. ‘주역’에서 천지 만물을 상징하는 숫자가 50으로, 점을 칠 때는 하나를 빼고 49를 썼다. 웨스 앤더슨 감독의 영화 ‘프렌치 디스패치’(2021년)에서도 50이라는 숫자가 두드러진다. 아서 하위처 주니어가 창간한 ‘프렌치 디스패치’란 잡지가 5…

    • 2023-08-31
    • 좋아요
    • 코멘트
    PDF지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