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과 도널드 트럼프 2기 미국 행정부 출범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가운데 과거 진보·보수 정권에서 경제 위기 극복과 성장을 책임졌던 사령탑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12일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한국 경제가 나아갈 길, 경제원로에게 묻다’라는 주제로 간담회를 열었다.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이 마련한 이날 자리에 정세균 전 국무총리와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유일호 전 경제부총리가 참석했다. 대한상의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1%대 성장률 전망이 나오는 상황에서 원로분들의 경험과 식견을 통해 우리 경제에 힘을 보태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12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의회관에서 최태원 상공회의소 회장과 경제 원로들이 모여 ‘한국 경제가 나아갈 길, 경제 원로에게 묻다’를 주제로 간담회를 가졌다. 왼쪽부터 최 회장과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 정세균 전 국무총리, 윤증현 전 기획재정부 장관, 유일호 전 경제부총리. 대한상의 제공
최 회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최근 경제상황에 대해 ‘세 개의 폭풍’이 몰려온다고 말씀드렸다”며 무역전쟁과 인플레이션, 인공지능(AI)을 꼽았다. 그러면서 “여기에 또 하나의 폭풍인 정치적 불확실성까지 합치면 네 개의 폭풍”이라고 진단했다. 최 회장은 “(경제)원로분들의 경험과 식견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고 중요하다”며 참석한 원로들에게 발언을 넘겼다.
경제 원로들은 한국 경제가 현재 총체적 위기에 직면했다는 점에 공감했다. 정 전 총리는 “트럼프 2기 보호무역 체제는 우려가 아닌 현실이 됐다”며 “우리 대한민국이 협상력을 키워야 한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이어 “가장 걱정해야 할 것은 AI 산업 생태계가 잘 되고 있지 않다는 점”이라며 “R&D, 투자, 인재 육성에 적극적으로 힘을 합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산업 경쟁이 이제는 국가 대항전이 되고 있다는 게 정 전 총리의 진단이다.
이 전 부총리는 “미국에서 우리나라의 위치를 강화하기 위해선 기업이 주도하는 협력 관계가 중요하다”며 “(미국과) 단순한 협력 관계를 넘어 파트너십 또는 합작 등의 방안을 모색할 때가 왔다”고 조언했다. 이 기회에 반도체와 자동차, 조선, 전자 등 분야에서 기업 차원의 동맹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윤 전 장관은 “전대미문의 외우내환으로 복합적인 위기에 처해 있다”며 “대한상의를 중심으로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정국 안정 최우선 등을 강하게 요구하고 내수활성화와 서비스 산업 육성 등 산업구조 재편과 구조조정 등을 위해 각계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윤 전 장관은 특히 국회가 산업 개발을 위한 기본법을 서둘러 처리해 줄 것을 촉구했다.
유 전 부총리는 금리 환율 등 거시경제 변수의 변동을 면밀히 살필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과 트럼프 행정부의 소통 부재를 언급하며 “정부가 나서기 어렵다면 민간이라도 나서서 (소통을) 해줘야 한다. 이것저것 따질 것 없이 모두 가용해야 이 난국을 돌파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