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포인트

연재

漢字 이야기

기사 1,379

구독 11

인기 기사

날짜선택
  • [한자 이야기]<973>孟子對曰王이 好戰하시니 請以戰喩하리이다…

    五十步百步의 성어가 여기에 나온다. 본래 以五十步笑百步인데, 以와 笑의 두 글자를 줄여 성어로 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양혜왕 즉 위나라 제후 앵(앵)은 자신이 백성들을 救恤(구휼)하기 위해 盡心盡力(진심진력)하지만 자국의 인구가 증가하여 국가가 더 강성해지지 않

    • 2010-08-30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71>民欲與之偕亡이면 雖有臺池鳥獸나…

    與民偕樂章의 마지막이다. 앞서 맹자는 ‘어진 군주이어야 동산을 경영하고 거기에 노니는 기러기들과 사슴들을 즐길 수 있다’는 것과 ‘어질지 못한 군주가 동산을 경영하고 진기한 동물들을 소유할 때는 그것들을 가지고 있더라도 즐길 수가 없다’는 것을 말했다. 그리

    • 2010-08-26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70> 湯誓曰時日은 害喪고 予及女로 偕亡이라 하니라

    앞서 맹자는 ‘시경’ 大雅 ‘靈臺’편을 인용하고 풀이해서, ‘어진 군주이어야 동산에 노니는 기러기들과 사슴들을 즐길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이번에는 ‘상서’ 즉 ‘서경’의 ‘湯誓’편을 인용해서 ‘어질지 못한 군주가 진기한 동물들을 소유할 때는 그것들을

    • 2010-08-25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69>文王이 以民力爲臺爲沼하시나…

    맹자는 양혜왕에게 “어진 군주이어야 자신의 동산에 노니는 기러기들과 사슴들을 즐길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 후 ‘시경’ 大雅 ‘靈臺’편을 인용하고 다시 해석하여 본래의 주장을 분명하게 밝혔다. ‘영대’에 따르면 문왕은 대와 못을 만들 때 백성의 힘을 이용했으나

    • 2010-08-24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68> 王在靈씢하시니 鹿攸伏이로다…

    지난 호에 이어 ‘시경’ 大雅(대아) ‘靈臺’편의 일부다. 맹자는 어진 군주여야만 자신의 동산에 노니는 기러기들과 사슴들을 진정으로 즐길 수 있다고 말한 후, 그 말의 뜻을 밝히기 위해 ‘시경’의 시편을 인용했다. 靈(유,육)(영유)와 靈沼(영소)는 주나라 文王의 靈臺

    • 2010-08-23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67>詩云經始靈臺하여 經之營之하시니 庶民攻之라…

    맹자가 만나러 갔을 때 양혜왕은 동산의 기러기와 사슴들을 돌아보면서, ‘현자도 이런 것들을 즐거워합니까?’라고 물었다. 맹자는 ‘현자여야만 이런 것을 진정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라고 대답하고는, 위와 같이 ‘시경’의 시를 인용해서 대답의 뜻을 밝혔다. 위는 맹

    • 2010-08-20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66>孟子對曰賢者而後에 樂此하니…

    與民偕樂(여민해락)章의 大旨(대지)이다. 맹자가 면회하러 갔을 때 양혜왕은 궁궐 안 동산에 있었다. 맹자를 본 양혜왕은 기러기와 사슴을 돌아보면서 “현자도 또한 이런 것을 즐거워합니까?”라고 물었다. 현자란 맹자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맹자는 그 물음에서 발단하여

    • 2010-08-19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65>孟子見梁惠王하신대 王이 立於沼上이러니

    ‘맹자’ ‘양혜왕·상’의 두 번째 장이다. 흔히 與民偕樂(여민해락)章이라 한다. 맹자가 초빙되어 魏(위)나라 大梁(대량)으로 가 있을 때의 일을 적었다. 맹자는 이 장에서 백성과 더불어 즐기는 즐거움이 진정한 즐거움임을 설파한다. 양혜왕은 何必曰利(하필왈리)章에

    • 2010-08-18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64>王은 亦曰仁義而已矣시니…

    何必曰利章의 마지막이다. 魏(위)나라 제후 앵(앵)은 맹자를 大梁(대량)으로 초청하고는 맹자도 富國强兵策을 제안하리라 기대했지만 맹자의 대답은 달랐다. 왕은 하필 나라를 이롭게 할 방도만 중시하여 利의 문제를 거론하십니까? 정치는 仁義를 정착하고 실현하는 일이어

    • 2010-08-17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63>未有仁而遺其親者也며…

    맹자는 利보다 仁義를 우선해야 하는 적극적인 이유를 위와 같이 말했다. 군주가 利를 추구하지 않고 몸소 仁義를 행하면 아랫사람이 교화되어 군주를 친애하고 받들 것이라고 말한 것이다. 何必曰利章의 이 문장은 같은 짜임의 어구를 나란히 두는 對仗法(대장법)을 사용했

    • 2010-08-16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62>萬乘之國에 弑其君者는 必千乘之家요…

    何必曰利章의 계속이다. 맹자는 魏나라 제후 앵(앵)에게 利만 쫓다 보면 交征(교정)의 일이 벌어져 아랫사람이 군주를 弑害(시해)하는 國危(국위)의 상태가 벌어진다고 지적했다. 그 말을 다시 부연한 것이 위의 부분이다. 萬乘은 兵車萬乘이다. 兵車 一乘에는 甲士가 3인,

    • 2010-08-13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61>王曰何以利吾國고 하시면…

    何必曰利章의 계속이다. 上下交征利라는 성어가 여기서 나왔다. 맹자는 魏나라 제후 앵(앵)의 질문에 “하필 나라를 이롭게 할 방도를 말하십니까? 오로지 仁義가 있을 따름입니다”라고 대답하고는 “하필 利를 말씀하십니까”라고 말한 뜻을 밝혔다. 大夫는 士의 윗자리로

    • 2010-08-12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60>孟子對曰王은 何必曰利잇고 亦有仁義而已矣니이다

    ‘孟子’ ‘梁惠王·上’은 7章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첫 장은 여기에 나오는 어구를 따서 何必曰利章이라 부른다. 양혜왕, 즉 魏나라 제후 앵(앵)과 맹자와의 대화가 이어진다. 맹자가 위나라 수도 大梁(대량)으로 오자 혜왕은 맹자도 다른 사람처럼 富國强兵策을 건의하리

    • 2010-08-11
    • 좋아요
    • 코멘트
  • [한자 이야기]<959>孟子見梁惠王하신대 王曰쑚不遠千里而來하시니…

    ‘孟子(맹자)’의 처음인 ‘梁惠王·上’의 첫머리다. 유교의 경전인 四書三經에는 金科玉條(금과옥조)의 어구로 가득한데 ‘맹자’에는 특히 생동적인 고사성어가 많다. ‘맹자’는 전국시대 鄒(추)나라 사람 孟軻(맹가)가 지었으며 모두 7편(각각 상하)이다. 맹자는 공자

    • 2010-08-10
    • 좋아요
    • 코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