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은 이날 언론에 배포한 보도 참고자료에서 “12년 만의 정상 양자 방문을 통해 그간 역대 최악으로 치달아 온 양국 관계 개선의 전환점을 마련했다”며 이같이 자평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방일을 계기로 “정상 간 현안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는 ‘셔틀 외교’를 재가동하고, 대통령실과 각 부처가 일본의 상대 파트너와 활발한 만남을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정상회담 결과물로는 ▲NSC 간 경제안보대화 출범 합의 ▲경제안보대화 신설 ▲반도체 소재 3품목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 해제 및 우리의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철회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의 정상화 선언 등을 제시했다.
대통령실은 특히 “강제징용 문제로 촉발된 대표적인 비우호조치인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가 해제되면서 한일 관계의 본격적인 개선과 경제협력 강화를 위한 실질적 토대를 확립했다”고 강조했다.
또 “반도체 분야 수출규제 해제에 이어 한국의 화이트리스트 복귀 조치가 뒤따를 경우,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교류를 저해하는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양국 산업계 간에 협력 분위기가 한층 고조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울러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 방일 기간 전경련과 게이단렌이 발표한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을 언급, “경제적 관점에서도 공급망 안정, 수출시장 확대, 과학기술 협력 강화 등 양국의 공동이익 달성을 위한 상호 노력 의지를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등의 협력 파트너인 일본과의 공급망 협력 ▲반도체, 배터리 등 상호 호혜적인 수출 및 전략적 협업 확대 기대 ▲우주, 양자 등 신기술·신산업 공동 연구개발 확대 ▲금융·외환 협력 구축 등을 성과로 꼽았다.
김소영 동아닷컴 기자 sykim41@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