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더불어민주당은 전날 오전까지만 해도 ‘표결 처리’까지 예고하면서 언론중재법 강행처리를 시사했었다. 청와대가 그간 여야 합의를 중시하며 강행 처리에 부담을 나타내온 만큼 이번 언론중재법 강행 처리가 현실화할 경우 당·청 갈등이 표면화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하지만 협상 막판 민주당 최고위원회에서 반대 의견이 우세해 장기적 논의를 이어가는 것으로 전격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강행 처리를 우려하는 청와대와 민주당 내 친문(親문재인) 의원들의 반대 목소리가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실제 이날 열린 민주당 의원총회에서 청와대 참모진 출신 의원들은 신중론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출신의 윤건영 의원은 “지지자들이 많이 억울해하지만, 전쟁에서 이기기 위해선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지 한 발짝 떨어져서 보면 좋겠다”고, 청와대 대변인 출신의 고민정 의원은 “국제사회에 대한 설득이 얼마나 됐는지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고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이날 여야 합의와 관련해 공식 입장을 내지는 않았다. 다만 청와대 내부에서는 민주당이 단독 처리 방침을 철회하면서 국회 파행을 피한 데 대해 안도하는 분위기가 감지됐다.
아울러 청와대로선 문 대통령의 신중론을 무색하게 하는 여당의 일방통행이 향후 레임덕으로 이어지는 상황에 대해서도 부담을 덜게 됐다. 문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여부가 정국의 이슈로 부상하는 일도 피할 수 있게 됐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23일 방미 귀국길 기내간담회를 통해 언론중재법에 대해 “언론이나 시민단체, 국제사회에서 이런저런 문제제기를 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점들이 충분히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