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대지진 함께 극복” 위로…日 “후쿠시마산 수입규제 유감”

  • 뉴스1
  • 입력 2021년 3월 12일 10시 27분


코멘트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일본대사가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에서 열린 ‘동일본 대지진으로부터 10년, 감사와 부흥’ 기념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1.3.11/뉴스1 © News1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일본대사가 11일 오후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공보문화원에서 열린 ‘동일본 대지진으로부터 10년, 감사와 부흥’ 기념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1.3.11/뉴스1 © News1
한국 정부가 동일본 대지진 피해 10주기를 맞아 위로의 메시지를 전달한 가운데 일본 정부측에선 ‘후쿠시마산 식품 규제’에 대한 유감의 입장을 표명했다. 일본측의 이같은 발언은 악화일로를 겪고 있는 한일관계를 보여주는 단면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10일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동일본 대지진 피해 10주기를 맞아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에 위로의 서신을 보냈다. 강창일 주일 한국대사도 11일 일본 국민들에게 영상 메시지를 보내 “동일본 대지진으로 희생된 모든 분들과 유가족분들께 위로의 말씀을 전하면서 복구를 위해 힘써주신 일본 정부와 동북지방 주민 여러분께 깊은 경의를 표한다”고 위로했다.

이와 함께 이들은 어려움을 함께 극복한 이웃국가로서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노력하자며 ‘관계개선’에 대한 운을 띄우기도 했다. 이는 최근 문재인 정부가 밝힌 전향적인 한일관계 개선 의지 표명의 연장선상에서 나온 발언이다.

아직까지 일본 정부는 묵묵부답인 상황이다. 일본 정부는 우리 대법원의 강제징용과 위안부 관련 배상 판결에 있어 한국 정부가 구체적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측의 제안이 있을 때까지 일본 정부가 한일 고위급 대화를 고의적으로 미루고 있다는 보도도 나왔다.

지난 8일 요미우리신문은 “한국 정부가 위안부와 강제동원 문제에서 수용 가능한 해법을 마련하기 전까지 일본 정부는 강 대사를 만나지 않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뿐 아니라 정의용 외교부 장관 취임 이후 한 달이 지났지만 한일 외교수장 통화는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 상황 속에서 일본 고위 당국자들 사이에서 우리 정부의 ‘후쿠시마산 식품규제’에 대한 유감 표명이 나왔다. 먼저 4일 히라사와 가쓰에이 일본 부흥상은 “지금도 후쿠시마현을 포함해 일본 일부 지역에서 난 농수산물을 수입 정지·제한 조치를 계속하고 있는 국가 지역이 있다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며 “한국의 수출 규제는 편견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11일 모테기 도시미쓰 일본 외무상도 담화를 발표하고 “지진 후 10년이 지났는데도 일본 식품의 수입을 규제하는 국가나 지역에 있는 것은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 일본 대사도 “일본산 식품에 대해서는 세계적으로 엄격한 기준을 도입해 철저한 식품검사를 시행하고 있으며 안전성이 증명된 식품에 한해 유통하고 있다”며 “유감스럽게도 한국에서는 수입규제가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일본 내에서도 안전성 논란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일본이 이 문제를 공론화할 경우 양국관계에는 어려움이 닥칠 거란 분석이 나온다.

호사카 유지 세종대학교 대양휴머니티칼리지 교수는 “일본이 현재까지의 입장을 동북 대지진 10주년을 맞아서 반복한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일본이 수입규제를 하는 다른나라들이 있는데도 유독 한국에만 이런 입장을 밝힌다면 한일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어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후쿠시마 원전 사고 원자로의 냉각 과정에서 발생하는 처리수를 바다에 방출하는 일명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대책에 있어서도 일본 정부가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협력한다는 입장이여서 이 부분의 논란도 예상된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