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1월 20일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취임식 연설 모습. 사진 출처 존 F 케네디 대통령 도서관 홈페이지
정미경 콘텐츠기획본부 기자△“American carnage stops right here and stops right now.”(미국 대학살은 바로 여기서, 바로 지금 멈출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을 앞두고 미국인들이 걱정이 많습니다. 취임 연설에 대한 걱정입니다. 2017년 트럼프 1기 취임 연설은 미국을 충격으로 몰아넣었습니다. 가장 논란이 된 구절입니다. ‘carnage’(카니지)는 ‘대학살’이라는 뜻입니다. 통치 비전을 밝히는 취임 연설에 나올 만한 단어가 아닙니다.
트럼프 당선인이 당시 연설에서 묘사한 미국 대학살의 현장은 무섭습니다. “Mothers and children trapped in poverty in our inner cities; rusted-out factories scattered like tombstones across the landscape of our nation.”(어머니와 아이들은 도심에서 가난의 덫에 걸려 있고, 녹슨 공장들이 미국 전역에 묘비처럼 널려 있다)
‘America First’(미국 우선주의) 정책으로 이런 혼란상을 정리하겠다는 것이 연설의 결론이지만 정작 기억에 남는 것은 ‘American carnage’라는 단어밖에 없습니다.
백악관 자료에 따르면 취임 연설은 5대 요소를 포함해야 합니다. 화합, 축하, 통치 원칙 규정, 권력 한계 인정, 미래 비전 제시입니다. 취임 연설뿐만 아니라 모든 대통령 연설에 적용되는 요소들입니다. 최근 탄핵 사태에서 대통령의 거친 언어들이 국민을 놀라게 했습니다. 대통령의 언어는 국민에게 본보기가 돼야 합니다. 미국 역사에 길이 남는 3대 취임 명연설을 알아봤습니다.
△“With malice toward none, with charity for all, with firmness in the right, as God gives us to see the right, let us strive on to finish the work we are in.”(아무에게도 악의를 품지 않고, 모두에게 자비를 품고, 신이 우리를 인도하는 대로, 옳은 길을 가고 있다는 확신을 품고, 임무를 완수하자)
미국 대통령 임기는 4년 중임제이므로 두 번의 취임 연설을 할 수 있습니다. 대개 1기 취임 연설이 낫습니다. 이례적으로 2기 취임 연설이 더 훌륭한 대통령이 있습니다. 에이브러햄 링컨 전 대통령입니다. 물론 1기 연설도 좋지만 2기 연설은 모든 취임 연설 중에서 최고라는 평가를 받습니다.
핵심 구절입니다. 남북전쟁이 막 끝난 시점이었습니다. 전장에서 귀환한 군인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열린 취임식에서 링컨 전 대통령은 자비를 강조했습니다. 국가의 화두를 대결에서 관용으로 바꾸려는 노력이었습니다. ‘malice’와 ‘charity’를 대비시킨 문장은 수사학적으로도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후세 대통령들이 취임 연설 때마다 단골로 인용합니다.
△“First of all, let me assert my firm belief that the only thing we have to fear is fear itself.”(무엇보다 먼저, 우리가 가장 두려워해야 하는 것은 두려움 그 자체라는 나의 굳은 믿음을 말하겠다)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대통령은 1월 20일 취임식의 원조입니다. 그 이전까지는 취임식이 3월 4일이었습니다. 취임식을 앞당긴 것은 그만큼 다급했다는 의미입니다. 대공황 때문입니다. 4명 중 1명은 실업자인 시대였습니다.
루스벨트 전 대통령은 연설을 시작하자마자 본론으로 직행했습니다. 네 번째 문장에서 핵심 메시지가 나옵니다. 국가적 위기 극복에 가장 중요한 것은 정책도 법도 아닌 부정적인 사고의 변화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이어 해결책으로 뉴딜 정책을 소개했습니다. ‘fear’라는 단어의 임팩트가 커서 ‘fear speech’(공포 연설)로 불립니다.
△“And so, my fellow Americans: Ask not what your country can do for you, ask what you can do for your country.”(친애하는 미국인들이여, 나라가 당신을 위해 무엇을 해줄 것인지 묻지 말고, 당신이 나라를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물으십시오)
전설이 된 1961년 존 F 케네디 전 대통령의 취임 연설입니다. 여러 가지 기록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외교에 치중한 취임 연설입니다. 연설의 90%가 외교에 관한 내용입니다. 냉전 시대였기 때문입니다. 현대 대통령 중 가장 짧은 취임 연설이라는 기록도 있습니다. 1355자로 14분밖에 걸리지 않았습니다. 20분이 넘는 대부분의 취임 연설과 비교됩니다. 위대한 연설은 길 필요가 없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sk not’으로 시작한 핵심 구절은 무력이 아니라 외교적 노력으로 냉전을 극복한다는 케네디 전 대통령의 평화주의적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이 구절의 필자가 누구인지는 지금까지도 미스터리입니다. 케네디 전 대통령이란 설과 테드 소렌슨 연설 담당 보좌관이라는 설이 대립합니다. 누구의 작품이건 모든 이에게 영감을 주는 명구절이라는 점은 분명합니다.
※매주 월요일 오전 7시 발송되는 뉴스레터 ‘정미경의 이런 영어 저런 미국’에서 더욱 풍부한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이나 미국이나 반국가세력은 학살이 필요하다 나라를 부정하는 세력과 함께 해봐야 분탕이나 저지르고 나라를 혼란스럽게 하니 척결 처단 해 그저 아가리 봉하고 밥이나 쳐먹고 살게 해야 나라가 발전하고 조용해진다 대한민국 국가반란세력 전라도 더블당에 꼭 필요한 조치다
2025-01-09 09:37:38
위대한 연설이 아니라 코미디 연설이죠. 입법부와 행정부가 사회구성원들 사고 구조에 영향을 주는데, 선장이 설정한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민주 시민들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짓이죠. 이끄는 능력이 있다고 해서 유권자로서 투표해 선출했는데, 자기 역할에 따른 책임을 떠넘기는 상황이 코미디가 아니가 뭡니까? 무론 돈이 없는 사람으로서 정미경 씨를 만나면 자진모리장단으로 맞장구를 치겠죠. 레이와 신센구미 진보 정당 대표인 야마모토 타로도 레이건 말을 인용했다고요. 정미경 씨와 저는 같은 민주 시민인데 이상하죠(?)
2025-01-09 09:30:35
한국인들이 미국인들 좋아하는 이유는 '한국인들보다 악조건에서도 실증적 목표를 성취한다'는 것, 가령 '미국인처럼 살려면 지구가 2.1 개 필요한데 한국인처럼 살려면 지구가 3.6 개 필요하다'는 보고도 있었지만 '클린턴'의 2.1 개, '엘고어'의 '지구'처럼 실증적인 부분이 무척 끌리는 부분이죠.
한국이나 미국이나 반국가세력은 학살이 필요하다 나라를 부정하는 세력과 함께 해봐야 분탕이나 저지르고 나라를 혼란스럽게 하니 척결 처단 해 그저 아가리 봉하고 밥이나 쳐먹고 살게 해야 나라가 발전하고 조용해진다 대한민국 국가반란세력 전라도 더블당에 꼭 필요한 조치다
2025-01-09 09:37:38
위대한 연설이 아니라 코미디 연설이죠. 입법부와 행정부가 사회구성원들 사고 구조에 영향을 주는데, 선장이 설정한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민주 시민들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짓이죠. 이끄는 능력이 있다고 해서 유권자로서 투표해 선출했는데, 자기 역할에 따른 책임을 떠넘기는 상황이 코미디가 아니가 뭡니까? 무론 돈이 없는 사람으로서 정미경 씨를 만나면 자진모리장단으로 맞장구를 치겠죠. 레이와 신센구미 진보 정당 대표인 야마모토 타로도 레이건 말을 인용했다고요. 정미경 씨와 저는 같은 민주 시민인데 이상하죠(?)
2025-01-09 09:30:35
한국인들이 미국인들 좋아하는 이유는 '한국인들보다 악조건에서도 실증적 목표를 성취한다'는 것, 가령 '미국인처럼 살려면 지구가 2.1 개 필요한데 한국인처럼 살려면 지구가 3.6 개 필요하다'는 보고도 있었지만 '클린턴'의 2.1 개, '엘고어'의 '지구'처럼 실증적인 부분이 무척 끌리는 부분이죠.
댓글 3
추천 많은 댓글
2025-01-09 12:34:55
한국이나 미국이나 반국가세력은 학살이 필요하다 나라를 부정하는 세력과 함께 해봐야 분탕이나 저지르고 나라를 혼란스럽게 하니 척결 처단 해 그저 아가리 봉하고 밥이나 쳐먹고 살게 해야 나라가 발전하고 조용해진다 대한민국 국가반란세력 전라도 더블당에 꼭 필요한 조치다
2025-01-09 09:37:38
위대한 연설이 아니라 코미디 연설이죠. 입법부와 행정부가 사회구성원들 사고 구조에 영향을 주는데, 선장이 설정한 방향에 따라 움직이는 민주 시민들에게 책임을 떠넘기는 짓이죠. 이끄는 능력이 있다고 해서 유권자로서 투표해 선출했는데, 자기 역할에 따른 책임을 떠넘기는 상황이 코미디가 아니가 뭡니까? 무론 돈이 없는 사람으로서 정미경 씨를 만나면 자진모리장단으로 맞장구를 치겠죠. 레이와 신센구미 진보 정당 대표인 야마모토 타로도 레이건 말을 인용했다고요. 정미경 씨와 저는 같은 민주 시민인데 이상하죠(?)
2025-01-09 09:30:35
한국인들이 미국인들 좋아하는 이유는 '한국인들보다 악조건에서도 실증적 목표를 성취한다'는 것, 가령 '미국인처럼 살려면 지구가 2.1 개 필요한데 한국인처럼 살려면 지구가 3.6 개 필요하다'는 보고도 있었지만 '클린턴'의 2.1 개, '엘고어'의 '지구'처럼 실증적인 부분이 무척 끌리는 부분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