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m 병풍에 매화 두 그루, 장승업의 호방한 봄[윤범모의 현미경으로 본 명화]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4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오원 장승업의 ‘홍백매도(紅白梅圖) 10폭 병풍’(19세기 후반)은 길이 4m가 넘는 열 폭이나 되는 대작에 매화 두 그루가 
호방하게 그려져 있다. 붓질의 속도감이 이 작품의 장점. 거침없는 붓질은 작가의 호탕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제공
오원 장승업의 ‘홍백매도(紅白梅圖) 10폭 병풍’(19세기 후반)은 길이 4m가 넘는 열 폭이나 되는 대작에 매화 두 그루가 호방하게 그려져 있다. 붓질의 속도감이 이 작품의 장점. 거침없는 붓질은 작가의 호탕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제공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

봄이다. 꽃들의 전쟁이다. 정말 큰일 났다. 국토는 온통 거대한 화원으로 바뀌었다. 겨우내 추웠던 인고(忍苦)의 세월을 견뎌내고 드디어 꽃들은 다투면서 얼굴을 내밀고 있다. 화려한 단장이다. 하얗고, 노랗고, 빨갛다. 모습도 제각각으로 아름답다. 새봄을 맞이하고자 푸른 이파리도 피우기 전에 꽃부터 올렸다. 동백, 매화, 산수유, 목련, 개나리, 진달래 등. 대충 이런 순서로 꽃은 등장한다. 그러다가 벚꽃은 화려한 강산의 절정으로 봄을 단장한다. 올해에도 나는 꽃들과 함께 새봄을 맞이했다. 다만 지구 온난화 현상은 꽃들조차 개화 순서를 헷갈리게 했는지 두서가 없기는 했다. 그래서 벌과 나비들도 어려움이 많았을 것이다.

옛날 선비들은 계절에 따른 대표적 식물로 자신의 지조를 상징화했다. 그래서 사계절에 따라 사군자(四君子)를 두었으니, 바로 매란국죽(梅蘭菊竹)이다. 문인화가들은 난초와 대나무를 즐겨 그렸다. 하지만 꽃 그림의 백미는 매화라고 할 수 있다. 신춘의 전령사 매화. 설중매(雪中梅)라는 말이 있듯이 눈 속에서 피는 꽃 매화, 그 기상을 찬탄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매화(梅花)는 한자말이다. 개나리, 진달래, 벚꽃과 같은 꽃은 순수 우리말인데 매화는 그렇지 않다. 그렇다면 교육을 독점했던 지배계층의 산물임을 알 수 있다. 한자(漢字) 사회의 주역인 양반 사대부의 정서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아무튼 매화 향기는 은은하면서도 멀리 간다. 그렇다고 매화 향기는 돈 주고 살 수도 없다. 키가 작은 매화나무의 향을 맡으려면 허리를 숙여야 한다. 기품 있는 고매(古梅)를 감상하려면 탐방길에 올라서야 한다.

현재 서울 용산의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는 특이한 전시를 열고 있다. ‘조선, 병풍의 나라’라는 제목 아래 병풍 작품을 모은 전시다. 한국은 병풍의 나라라고 부를 수 있을 만큼 병풍을 사랑했다. 병풍(屛風)이란 말은 글자 그대로 바람을 막는 물건이란 뜻이다. 외풍이 심했던 예전의 가옥 구조에서 병풍의 역할은 컸다. 결혼식이나 장례식 혹은 국가 차원의 커다란 행사에는 으레 병풍이 등장했다. 한마디로 병풍은 움직이는 벽화로 장식성과 더불어 기능성이 강했다.

조선왕조 개국 초기부터 병풍의 비중은 컸다. 국왕의 의자 뒤에 있는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 병풍은 왕권을 상징한다. 국립고공박물관 제공
조선왕조 개국 초기부터 병풍의 비중은 컸다. 국왕의 의자 뒤에 있는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 병풍은 왕권을 상징한다. 국립고공박물관 제공
18세기 정조 임금은 책가도(冊架圖) 병풍을 아꼈으며 이런 유행은 양반가를 거쳐 민간으로 퍼졌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18세기 정조 임금은 책가도(冊架圖) 병풍을 아꼈으며 이런 유행은 양반가를 거쳐 민간으로 퍼졌다. 국립민속박물관 제공
조선왕조 개국 초기부터 병풍의 비중은 컸다. 국왕의 의자 뒤에 일월오봉도(日月五峯圖) 병풍을 펼쳐두었기 때문이다. 왕권의 상징, 바로 이미지를 통치에 활용한 대표적 사례이기도 하다. 18세기 정조 임금은 책가도(冊架圖) 병풍으로 바꾸었다. 병풍 그림의 유행을 가져오게 한 계기였다. 정조의 총애를 받았던 화원 김홍도는 병풍 작품을 많이 제작했다. 이러한 전통은 양반가를 거쳐 민간으로 퍼졌다. 병풍의 나라를 이룩한 것이다. 그래서 그랬을까, 조선 후기에 이르면 금강산이나 관동팔경 같은 산수화 병풍 그리고 곽분양행락도(郭汾陽行樂圖)나 요지연도(瑤池宴圖) 같은 중국 이야기 주제의 병풍 등이 유행했다. 물론 꽃 그림 병풍 가운데는 모란 그림이 제일 많았다. 모란은 부귀영화를 상징했다.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1843∼1897)은 조선 3대 화가로 추앙받았다. 하지만 장승업에 대하여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사실 그의 가문조차 알려져 있지 않다. 그래서 누구에게 그림을 배웠고, 어떻게 활동했고, 어떻게 죽었는지 자세하게 알 수 없다. 그냥 조선 말기의 천재 화가로 알려졌고, 그에 대한 본격적 전시나 학술논문은 많지 않다. 대중적 관심은 임권택 감독의 영화 ‘취화선(醉畵仙)’으로 잘 알려졌을 뿐이다.

한마디로 장승업은 기인(奇人)이다. 궁궐에서 그림을 그리다 술 생각이 나 담장을 넘어 탈출했다는 둥 주색으로 세월을 보내면서 갖가지 일화를 남겼다는 것이다. 호방한 성품에 달필의 붓으로 다양한 그림을 잘 그렸을 것이다. 정통으로 그림 공부를 하지 않았기에 중국풍으로부터 자유스럽지 못하다는 평가도 있다. 게다가 족보도 알 수 없는 까막눈이어서 작품 속 글씨는 다른 사람이 대신 썼다는 이야기도 있다. 미천한 출신이었지만 그림은 아주 잘 그렸다는 전설 속의 주인공 장승업.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의 병풍 전시에서 장승업의 ‘홍백매도(紅白梅圖) 10폭 병풍’(19세기 후반)을 감상했다. 길이 4m가 넘는 열 폭이나 되는 대작에 매화 두 그루를 호방하게 표현했다. 매화 줄기는 검은 먹으로 중심을 잡고 곁가지를 길게 뻗게 하여 사이사이에 하얗고 붉은 꽃을 가득 매달았다. 화면 변화를 의식해서 비스듬히 뻗은 나무줄기, 그것도 뒤의 늙은 매화는 배경처럼 단순 처리했고, 앞의 주인공을 부각시켜 강약의 대비 효과를 보았다. 붓질의 속도감. 이 작품의 장점이다. 거침없는 붓질은 보는 이로 하여금 시원스럽게 작가의 호탕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그러면서 매화 향기가 가득 서려 있을 가지가지마다의 꽃들에서 눈길을 떼기 어렵게 한다. 이와 같은 매화 병풍을 펼쳐놓고 살았던 주인은 과연 누구였을까. 병풍의 나라 조선의 사대부 문화를 다시 생각해 본다. 하지만 오늘의 아파트 문화는 병풍의 전통을 단절시켰다. 더 이상 움직이는 벽화를 보기 어려운 세태이다.

다시 봄이다. 봄은 왔다 하지만 봄 같지 않은 봄이다. 꽃들은 다투어 산천을 화려하게 수놓고 있지만 그렇다고 마냥 즐겁지 않은 세월이다. 그래도 집 안에 꽃을 모셔놓고 즐기고자 한 고상한 마음, 그 마음만은 높게 사고 싶은 봄이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


#홍맥매도#일월오봉도#책가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