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와 산업]김지룡/‘콘텐츠 혁명’ 없인 유료화 실패

  • 입력 2002년 11월 21일 17시 45분


‘공각기동대’ 같은 애니메이션을 보통 ‘성인용’으로 분류한다. 선정적이거나 폭력적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스토리가 복잡하고 담고 있는 내용이 깊어 성인이어야만 제대로 즐길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런 ‘성인용’ 애니메이션은 국내에서 그다지 흥행에 성공하지 못했다. ‘아이들 손을 잡고’가 아니라 성인이 자신을 위해서 돈을 지급하고 영화관에서 애니메이션을 보는 ‘문화’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이 100만 관객을 동원한 것은 무척 고무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 애니메이션도 비디오로 보는 것과 영화관에서 보는 것은 질적으로 다른 일이다. 한 번 대형 스크린에서 애니메이션을 보고 기분 좋은 충격을 받게 되면 ‘애니메이션은 당연히 영화관에서 보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나오게 된다. ‘센과 치히로…’를 본 100만 관객이 성인도 영화관에서 애니메이션을 보는 문화를 만들지도 모를 일이다. 추후에 개봉하는 성인용 애니메이션이 어떤 흥행 성적을 거둘지 흥미롭게 지켜보고 있다.

지난주에 인터넷은 ‘돈을 지급하더라도 소비하고 싶은 콘텐츠’는 드물고 ‘공짜라면 이용하고 싶은 콘텐츠’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유료화가 힘들다고 했다.

실은 그것보다는 ‘돈을 지급하는 문화’가 없다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생각한다. 인터넷으로 메일을 주고받는 서비스는 ‘돈을 지급하더라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콘텐츠’의 대표에 해당한다. 실제로 PC통신이 주류였던 시절에는 메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선 매달 1만원 정도의 돈을 지급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하지만 고속통신과 인터넷이 급속도로 보급되면서 공짜로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그 결과 ‘당연히 돈을 지급하는’ 문화가 사라지고, 어떤 광고의 카피처럼 인터넷에서는 무엇이든 공짜로 얻을 수 있다는 ‘공짜 문화’가 자리잡게 되었다.

‘공짜 문화’가 팽배해 있는 현재 상황에서 갑자기 돈을 내라고 하면 과연 이용자들이 수긍할 수 있을까. 게다가 벤처기업의 인수합병(M&A)이 활발하던 시절에는 회원수가 바로 ‘돈(회사 가치)’이었던 기억도 있다. 이 때문에 ‘그동안 무료로 서비스해 주어서 고맙다’는 생각보다 ‘이제까지 회사를 키워준 것이 누구인데’라는 반발심이 먼저 나올 것이다.

월트 디즈니의 장편 애니메이션 ‘백설공주’가 영화관에서 애니메이션을 보는 문화를 만들어 냈고, 미야자키 하야오가 성인용 애니메이션 시장을 일구어 낸 것처럼 어떤 문화 장르든 산업으로 자리잡기 위해선 새로운 시대를 여는 획기적인 전기가 필요하다.

인터넷도 ‘센과 치히로…’처럼 문화 자체를 바꿀 수 있는 파괴력 있는 콘텐츠가 나와야 유료화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김지룡 문화평론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