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은영의 부모마음 아이마음]<51>한쪽으로만 보는 아이, ‘팩트’로 얘기하라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4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사춘기 아이와 충돌하지 않으려면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김수진 기자 soojin@donga.com

오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소아청소년클리닉 원장
오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소아청소년클리닉 원장
해달라는 건 대부분 다 해주는데 한 번 안 들어줬다고 “나한테 해준 게 뭐가 있어요?”라고 따진다. 분명 우리 집이 다른 집에 비해서 개방적인데도 어쩌다 한 번 원하는 걸 허락해 주지 않으면 “왜 다른 집은 다 되는데 우리 집만 안 되는 거예요?”라고 소리친다. 사춘기 아이들의 특징이다. 이 시기 아이들은 쉽게 화내고 실망하고 하늘이 무너진 것처럼 군다. 이유가 뭘까? 극단적으로 이분법적인 생각을 많이 하기 때문이다. 뭔가를 평가할 때 중간이 없다. 한마디로 뭐든 ‘모’ 아니면 ‘도’일 경우가 많다. 좋아하는 것은 너무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은 미치게 싫어한다. 그 계기도 대개 이분법적이다.

사람은 누구나 완벽하지 않다. 아무리 완벽한 사람도 항상 모범적으로 행동하지는 못한다. 어쩌다 말실수를 할 수도 있다. 사춘기 아이들은 이것을 받아들이지 못한다. 한 사람 안에 좋은 점, 미숙한 점이 모두 공존한다는 아주 당연한 사실을 인정하지 못한다. 평소 아무리 잘해줘도 한 번 잘못하면 금세 배신감에 치를 떨며 완전히 등을 돌려 버리고, 장점이 매우 많은 사람임에도 작은 단점 하나로 완전히 평가 절하해 버리기도 한다. 이러한 경향은 아이가 기대를 많이 한 대상이나 중요하게 여기는 사람에게 더하다. 그래서 교사나 부모로부터 마음이 상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것 때문에 사춘기 아이들은 아주 시니컬해지기도 한다. 사람이 싫고, 세상도 싫고, 믿을 게 하나도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자기 자신에게조차 ‘모’ 아니면 ‘도’ 원리를 적용한다. 열 번 잘하고 한 번 실패해도 ‘어떻게 이런 점수를 받을 수 있어. 난 정말 형편없어’ 하고 크게 좌절해 버린다.

왜 이렇게 이분법적인 사고를 하는 걸까? 아직 통합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이다. 한 가지 현상을 여러 관점에서 다양하게 보고 이해하려면 통합적인 사고가 가능할 만큼 뇌가 발달해야 한다. 이 시기 아이들은 그것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신이 몰입하고 있는 한 가지 관점으로만 세상을 보는 것이다.

이런 아이들과 충돌하지 않으려면 우선 아이를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해 줘야 한다. 그리고 부모의 말이나 행동에 언제나 객관성과 합리성이 있어야 한다. 누가 들어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원칙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담배를 피우지 말라고 얘기한다면 “절대 피우지 마. 퇴학당할 수도 있어” “공부도 못하는 것들이 벌써부터 담배나 입에 대고”라고 접근해서는 안 된다. 그럴 때는 좀 과장되더라도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요새 담배 광고처럼 말이다. “담배는 애한테나 어른한테나 몸에 해로워. 담배 속에는 타르, 중금속 같은 발암물질이 들어있거든. 그걸 입으로 직접 빨아들이는 거야. 그렇게 되면 그 발암물질이 폐 속에 차곡차곡 쌓이지. 그러니 어떤 어른이 너희한테 담배를 피우라고 하겠니?”라고 아주 상식적이고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 이 시기 아이들과는 항상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래야 부모가 자신을 하나의 독립된 인격체로 인정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아이가 “저 좀 나갔다 올게요”라고 한다. 이럴 때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대화는 누구를 만나는지, 몇 시까지 올 것인지 정도만 묻는 것이다. 아이가 “친구들 만나러 가요”라고 하면 “학교 친구들?” “네” “몇 시까지 올 생각인데? 늦게 오면 엄마가 걱정하는 거 알지?” “10시까지 들어올게요” 이 정도가 적당하다. 여기에 “누구누구 만날 건지 정확히 말해. 걔네들 전화번호 다 적어놓고. 참, 어디 어디 갈 거지? 뭐 하고 놀 거니” 하면서 꼬치꼬치 캐물으면 아이는 기분이 팍 상해 버린다.

사춘기 아이들은 ‘독립적인 인간’이 되는 걸 지상과제로 생각한다. 부모가 자기한테 너무 붙어 있다는 생각이 들면 부모를 떼놓는 데 혈안이 돼 모든 에너지를 거기에 써버린다. 그래서 정작 부모가 하는 말이나 충고를 받아들일 여력이 없다. “뭐가 그렇게 알고 싶으신데요? 몰라요. 몰라” 이렇게 된다. 따라서 아이에게 어떤 말이 전달되게 하고 싶다면 반드시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말해야 한다. 그 이상이 정 궁금하다면 “네가 이렇게 늦은 시간에 나가는데 엄마가 어떤 친구들과 만나는지는 대충 알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혹시 뭔가 곤란한 일이 생길 수도 있으니까 말이야” 식으로 말하는 것이 좋다. 이것이 사춘기 아이와의 현명한 ‘밀당’이다. 이 시기 아이들은 절대 너무 당겨서는 안 된다. 그러다 줄이 끊어져 버리면 다시는 이어 붙일 수 없는, 회복 불가능한 상황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오은영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소아청소년클리닉 원장
#이분법적인 사고#통합적 사고#객관성#합리성#상식적인 원칙#사춘기#독립적인 인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