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적’과 인터뷰한 트럼프 “韓, 우리 해운-車 빼앗아”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4월 30일 03시 00분


‘시그널 게이트’ 폭로 언론인과
취임 100일 맞아 인터뷰 진행
“동맹국들 美 희생 덕에 번영해”
관세 철회 가능성엔 선 그어

“다른 나라에 미안해할 필요 없다. 그들은 우리의 희생 덕분에 번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 시사잡지 디애틀랜틱과의 취임 100일 기념 인터뷰에서 이같이 밝혔다. 미국의 동맹국 홀대 탓에 한국, 일본, 대만 등이 불안감을 느낄 수 있다는 질문이 나오자 내놓은 반응이다.

디애틀랜틱은 6월호에 실릴 트럼프 대통령 인터뷰 기사 요약본을 28일 웹사이트를 통해 공개했다. 인터뷰는 24일 워싱턴 백악관에서 진행됐고, 이 매체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이 진행했다.

골드버그 편집장은 2월 28일 트럼프 대통령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백악관 회동 당시 서로 언성을 높이던 상황을 언급하며 “그런 모습이 대만이나 한국, 일본 같은 동맹국을 놀라게 하지 않겠나”라고 물었다. 그러자 트럼프 대통령은 “우리는 다른 나라로부터 심한 대우를 받아 왔다”면서 한국 사례를 콕 집어 거론했다. 이어 “(집권 1기 당시) 미군 4만2000명이 주둔 중인 한국에 30억 달러를 내라고 했는데,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막았다”며 “(한국은) 해운업과 자동차를 빼앗고 우리 사업과 기술을 많이 빼앗아 갔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과 달리 실제 주한미군 수는 2만8000명이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당시 주한미군 방위비 분담금으로 50억 달러를 요구했으나, 한미는 바이든 행정부 시절 10억 달러로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와 2기의 차이점에 대해 “과거(집권 1기)에는 부패한 집단 속에서 생존과 국정 운영을 동시에 해야 했지만, 이제는 국가와 세계 질서를 주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금융시장 혼란 때문에 상호 관세 정책을 철회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도 선을 그었다. 그는 “(정책 때문에 시장에) 약간의 영향은 있을 수 있지만 정책을 변경할 특정 임계점에 따른 정책 수정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3선 도전 가능성에 대해선 모호한 답변을 내놓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적극적으로 추진하려는 건 아니고, 매우 어려운 일이 될 것”이라고 모호하게 답했다.

골드버그 편집장은 트럼프 행정부 고위 인사들이 예멘 후티 반군 공격을 논의하던 메신저 앱 ‘시그널’ 단체 대화방에 실수로 초대된 뒤, 대화 내용을 폭로한 인물. 트럼프 대통령은 디애틀랜틱을 “급진 좌파 매체”로 부르는 등 관계가 안 좋았지만 취임 100일 인터뷰 요청을 수락해 화제가 됐다.

동아일보가 아카이빙한 미니 히어로콘텐츠 ‘트럼프 2.0 폴리시 맵’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주요 정책을 한 눈에 확인하세요.

https://original.donga.com/2025/trump_policymap

#트럼프 대통령#방위비 분담금#동맹국#디애틀랜틱#금융시장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1

댓글 7

추천 많은 댓글

  • 2025-04-30 04:24:05

    ★★도람포는 이상하다. 한국핵무장을 반대하고, 미국무기는 비싸게 팔고, A/S할적에도 갑질이나 하는 이상한 동맹국의 이상한 보스이다.진작에 북한핵실험 할 때 [한국핵무장]지원했으면, 지금 중국과의 대결에서 한국의 도움을 엄청 받았을 거다.한국이 만만하게 보인 것은,결국 [자체핵무장]못하고,가장 중요한 국가안보를 허울좋은[핵우산]이라는 미명하에, 4년마다 대통령이 바뀌는 미국에 전적으로 의존한 탓이다.새 대통령은 필사적으로 자체핵무장부터 추진해야 한다.역사적안목으로 보면, 한국의 안보상황이 가장 취약한 시기다.

  • 2025-04-30 04:51:12

    ㅎㅎ, 그런 자기합리화식의 논리라면, 한가지만 언급해 보자. 미국은 인디언의 땅을 빼앗은 댓가로, 지금도 각 가정에 총기를 보유해있고 없애고 싶어도 못하지 않는가?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가 돼 버렸다. 그리고 그 총질의 댓가가 잊혀질만하면, 한번씩 터지지 않는가?

  • 2025-04-30 08:41:32

    져 허풍쟁이 갈수록 태산이네. 시작은 거창하게 전세계를 주물탕 놓으려고 하다가 잘 안 풀리니까 한국 같은 나라가 만만해 보였나 왜 한국을 물고 늘어지나.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