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EU의 中 공동전선에 현대차 주가 급등…한국 기업 ‘기대감 폭발’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22일 20시 51분


코멘트
중국이 과잉생산한 전기차 등을 해외로 헐값에 ‘밀어내기’ 수출을 하자 미국과 유럽연합(EU)이 공동 전선 구축에 나섰다. 24, 25일 양일간 이탈리아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회의를 앞두고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과 우르술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이 한 목소리로 관세 인상 등에 협력할 뜻을 밝혔다. 이 여파로 현대자동차 주가가 10% 가까이 오르며 역대 최고점을 찍었다. 미국-EU과 중국 간 자동차 무역 분쟁에서 한국 자동차가 반사이익을 거둘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진 영향이다.

옐런 장관은 21일 독일을 찾아 “미국과 유럽은 자유세계의 두 기둥으로 계속 협력해야 한다. 여기는 중국에 대한 접근방식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최근 미국이 ‘무역법 301조’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 범용 반도체 등 중국산 제품에 대한 대대적인 관세 인상 방침을 밝힌 만큼 EU도 동참하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는 특히 “과잉생산은 미국과 유럽 기업에만 위협이 되는 게 아니다”라며 “전 세계 국가의 성장 산업 구축에도 방해가 된다”고 강조했다.

폰데어라이엔 위원장도 같은 날 “중국의 과잉생산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공유한다”고 동조했다. 다만 그는 “유럽은 훨씬 더 맞춤형 접근 방식을 갖고 있다”며 적지 않은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선언한 미국과 달리 일부 품목에만 인상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뉴욕타임스(NYT)는 EU가 이르면 7월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예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나 관세 인상폭은 기존 25%에서 100%로 4배 올린 미국보다 낮을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중국은 보복 관세 등 대응 조짐을 보였다. 유럽 내 중국 기업을 대표하는 이익 단체인 ‘EU 중국상회’는 옐런 장관의 발언 직후인 21일 공식 소셜미디어 계정을 통해 “중국으로부터 ‘대형 배기량 엔진을 장착한 수입차에 대한 관세를 인상할 검토할 수 있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밝혔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도 전문가를 인용해 “이들 차량에 대한 임시 관세율을 최대 25%까지 인상할 수 있다”고 22일 보도했다.

EU가 중국산 전기차에 관세를 부과할 경우 대응 조치로 중국으로 들어오는 수입차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는 경고인 셈이다. 지난해 중국이 수입한 배기량 2.5리터 이상 자동차는 25만 대로, 전체 수입차의 32%를 차지한다. 중국 부유층이 선호하는 벤츠나 포르쉐, BMW 등 유럽 브랜드 차량이 상당수 포함된 만큼 관세 인상이 현실화될 경우 유럽 자동차 제조사들이 적지않은 타격을 입게 될 전망이다.

현대차 서울 서초구 양재동 사옥 (뉴시스)
현대차 서울 서초구 양재동 사옥 (뉴시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유가증권시장에서 현대차 주가는 전날 대비 9.49% 오른 27만7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종가 기준으로 1974년 상장한 이후 가장 높이 올랐다. 코스피 시가총액 순위도 삼성바이오로직스를 제치고 4위로 올라갔다.

미국과 중국 간 자동차 무역 분쟁에 EU가 참전할 뜻을 밝히면서 현대차의 주가가 가파르게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최근 미국이 중국산 전기차에 보복 관세를 인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가운데 EU도 중국 정부가 전기차에 불법 보조금에 지급하는 것에 대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현대차와 기아는 중국 판매 비중이 5%인 데다 중국 업체들의 진출이 어려운 미국, 인도, 한국에서 90%의 영업이익 창출하고 있다”며 “미·중 갈등 시대에 반사이익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

중국이 미국과 EU의 대형 차량에 대해 관세를 인상하면서 맞불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커진 것도 국내 자동차 기업들에 호재가 될 것으로 관측된다. 현대차 외에 기아와 현대모비스의 주가도 전날 대비 각각 3.93%, 2.91% 올랐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이동훈 기자 dh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