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시다, 오염수 배출구 등 첫 시찰… 방류시점 내일 결정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8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한미일 정상회의 귀국 하루만에
“최종단계”… 이달말 방류할듯
尹 “오염수, 정상회의 의제되지않아”
日측 “韓반대여론 고려 다루지않아”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왼쪽)가 20일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해 고바야시 요시미쓰 도쿄전력 회장(오른쪽), 고바야카와 도모아키
 도쿄전력 사장과 오염수 내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시설인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시찰하고 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처리수(오염수의 일본식 표현)의 해양 방출은 결코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말했다. 후쿠시마=AP 뉴시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왼쪽)가 20일 후쿠시마 제1원전을 방문해 고바야시 요시미쓰 도쿄전력 회장(오른쪽), 고바야카와 도모아키 도쿄전력 사장과 오염수 내 방사성 물질을 제거하는 시설인 다핵종제거설비(ALPS)를 시찰하고 있다. 기시다 총리는 이날 “처리수(오염수의 일본식 표현)의 해양 방출은 결코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말했다. 후쿠시마=AP 뉴시스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총리가 20일 오염수 방류를 앞둔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시찰에 나섰다. 기시다 총리가 오염수 방류 설비를 살펴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정부가 방류 개시를 위한 마지막 움직임에 들어갔다는 평가가 나온다. 기시다 총리는 21일에는 일본 어민 단체 대표단과 만나 방류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를 구한 뒤 22일 관계 각료회의에서 방류 개시 시기를 결정할 방침이다. 방류는 이달 말이 유력하다.

한일 양국은 18일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나 한일 양자 정상회담에서 오염수 문제를 의제로 다루지 않았다. 다만 윤석열 대통령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점검 결과를 신뢰한다면서도 “(한미일) 3국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 기시다 “방류 판단할 최종 단계”
기시다 총리는 미국 캠프 데이비드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을 마치고 귀국한 지 하루 만인 이날 후쿠시마를 찾아 다핵종제거설비(ALPS) 등 방류 설비를 시찰했다. 기시다 총리는 현지에서 도쿄전력 관계자들과 설비를 둘러보며 오염수 배출구 위치 등을 확인했다.

기시다 총리는 후쿠시마 원전에서 기자들과 만나 “구체적인 (방류)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 말씀드리지 않겠다”면서도 “국제적으로도 과학적인 것에 근거한 냉정한 대응이 확산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방류를 위한 국내외 여건이 갖춰지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기시다 총리는 앞서 미국 워싱턴에서 오염수 방류에 대해 “국가로서 (방류 시기를) 판단해야 할 최종적 단계에 이르렀다”며 결정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오염수 방류는 이미 초읽기에 들어간 상황이다. 기시다 총리는 21일 일본 어민 대표 단체인 전국어업협동조합연합회(전어련) 대표단과 만나 오염수 방류에 관해 설명할 계획이다. 이후 22일 관계 각료회의를 열어 방류 시기를 결정할 방침이다. 일본 언론들은 후쿠시마 연근해 저인망 어업 개시 시기를 피하고자 이달 말 개시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도했다.

일본 어민들은 자국 국민들의 전반적인 분위기와 달리 여전히 반대 기류가 강하다. 앞서 일본 정부는 ‘관계자의 이해 없이는 오염수를 방류하지 않는다’고 어민들과 문서로 약속했다. 이에 대해 기시다 총리는 “소문 피해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수산물 매입 등을 지원하기 위한 300억 엔(약 2770억 원)의 기금을 마련했다. 도쿄전력이 적절히 배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처리수(오염수의 일본식 표현)의 해양 방출은 이 폐로와 후쿠시마의 부흥을 위해 결코 미룰 수 없는 과제”라고 거듭 강조했다.

● 韓 “방류는 정상회의 의제 아니었다”
한국 정부는 방류에 신중한 입장을 이어가고 있다. 윤 대통령은 18일 한미일 정상회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는 오늘 회의 의제로 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그러면서도 “후쿠시마 오염수는 태평양을 돌아서 3국뿐 아니라 많은 국가 국민에게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그렇기 때문에 3국 국민과 모든 인류의 건강과 안전이 최우선으로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국제적으로 공신력 있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점검 결과를 신뢰하고 있다”면서도 “IAEA의 점검과 계획대로 처리가 되는지에 대해 일본, 한국을 포함하여 국제사회에서 책임 있고 투명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애초에 한국 측에 설명하고 이해를 구하려는 입장이었지만 한국 측이 난색을 보이면서 의제로 다루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요미우리신문은 “한국에서는 처리수 방류에 대한 반대 여론이 강하다”며 “기시다 총리가 배려한다는 측면에서 윤 대통령과 개별 회담 중에 처리수를 화제로 올리지 않았다”고 전했다.

다만 미일 정상회담에서는 의제로 다뤘다. 일본 외무성은 “기시다 총리는 미국 측이 처리수에 관한 일본의 대응에 지지와 이해를 표명해 준 것에 감사를 표했다”고 밝혔다.


도쿄=이상훈 특파원 sanghun@donga.com
이상헌 기자 dapaper@donga.com


#기시다 후미오#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시찰#방류시점 내일 결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