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한 후속조치를 9일 발표하자 일본 언론은 이를 주요 뉴스로 보도했다.
강 장관은 9일 오후 2시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위안부 합의 처리 방향 정부 입장 발표’에서 “피해 당사자인 할머니들의 의사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2015년 합의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의 진정한 문제 해결이 될 수 없다”면서도 “2015년 합의가 양국 간의 공식 합의였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 이를 감안하여 우리 정부는 본 합의와 관련하여 일본 정부에 대해 재협상은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일본 정부가 출연한 화해치유재단 기금 10억 엔은 우리 정부 예산으로 충당하고 이 기금의 향후 처리 방안에 대해서는 일본 정부와 협의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일본의 대표적인 포털사이트 야후 재팬 메인화면 톱기사는 이날 강 장관의 발언 내용이었다. 이 기사에는 순식간에 3000개가 넘는 댓글이 달렸다. 야후 재팬 뉴스 페이지 접속 톱 랭킹 1위도 한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한 내용이다.
요미우리, 마이니치, 아사히 일본 주요 언론들은 각각 이 내용을 주요 뉴스로 보도했다. 다만 따로 전문가 분석 등을 덧붙이지 않고 강 장관의 발언 내용 중 “재협상은 요구하지 않을 것” “10억 엔은 한국 정부 예산으로 충당할 것”등을 담담히 전했다.
NHK는 보다 자세하게 이 소식을 전했다.
매체는 앞서 문재인 대통령이 “이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며 이 같은 내용을 보도했다. 그러면서 “(강 장관이)‘일본이 스스로 국제 보편 기준에 따라 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피해자들의 명예, 존엄 회복과 마음의 상처 치유를 위한 노력을 계속해 줄 것을 기대한다. 피해자 할머니들께서 한결 같이 바라는 것은 자발적이고 진정한 사과’라고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NHK는 그러면서 문재인 정권이 협상에 반대하는 거센 한국 여론과 일본과 외교 관계 사이에서 균형을 취하려고 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그러나 문 대통령이 ‘(당시 협상으로)위안부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는 태도를 바꾸지는 않았기 때문에 이 같은 태도가 향후 한·일 관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또 한·일 협상에 따라 설립된 ‘화해·치유 재단’의 지원금을 위안부 피해자 4분의 3 이상이 받아들였으며, 한국에서는 한·일 협상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이 강한 탓에 이와 관련해 보도되는 내용은 거의 없다고도 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내년도 정부 예산 계획에 재단 운영비를 포함하지 않았고, 협상 당시 일본 정부에서 받은 10억 엔 일부를 사용해 재단 활동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한편 고노 타로 일본 외무상은 우리 정부의 위안부 협상 후속조치 발표를 두고 “한·일 협상으로 위안부 문제의 ‘최종적이고 돌이킬 수 없는 해결’을 확인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측이 일본 측에 추가 조치를 요구하는 것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한국에 즉시 항의하겠다고 밝혔다. 또 10억 엔을 한국 정부 예산으로 충당하겠다고 한 것과 관련해서는 “무슨 뜻인지 (한국 정부에) 설명을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