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일본 동북부를 강타한 강진은 태평양 전체 연안 국가들을 공포에 떨게 만들었다. 각국에 쓰나미 경보가 내려진 가운데 밤새 주민들의 대피 행렬이 이어졌다.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괌 파푸아뉴기니 등 태평양을 접하고 있는 대다수 국가는 물론 미국 캐나다 멕시코 칠레 등의 북·남미 국가까지 30개가 넘는 국가에 쓰나미 경보가 발령됐다. 태평양 쓰나미 경보센터는 “쓰나미의 파고(波高)를 예측할 수 없고 시간이 지나면서 더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국제적십자사는 “현재 쓰나미의 파고가 태평양의 일부 섬보다 높아서 섬을 덮치고 지나갈 수 있다”며 “엄청난 위협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하와이 등 피해 예상지역에서는 쓰나미 경보와 주민 대피령, 해안 소개 등의 조치가 신속하게 진행됐다. 또 주민들을 태울 버스 등 교통수단을 지원하고 대피소를 설치하는 등 분주히 움직였다. 이런 가운데 태평양 연안국의 해안도시 주유소에는 도시를 빠져나가기 위해 차에 기름을 채우려는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며 초조해진 주민들 간 충돌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현지 언론들은 전했다.
다행히 일본을 제외한 국가에서는 12일 자정 현재 큰 쓰나미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러시아와 대만, 괌, 인도네시아 등의 해안지대에는 파고가 최저 10cm에서 최대 3m에 이르는 쓰나미가 도착했지만 별다른 피해 없이 지나갔다. 11일 밤부터 일부 국가는 쓰나미 경보 단계를 낮추거나 해제했다.
하지만 쓰나미는 해류 상황에 따라 증폭될 수 있고 여진으로 인한 추가 피해 가능성도 있어 안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하와이 호놀룰루 해변에는 지진이 발생한 지 7시간 반이 지난 11일 오전 3시 30분경(현지 시간) 높이 1m 안팎의 쓰나미가 밀려들었다. 피해상황은 보고되지 않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