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나와의 체험에서 보이는 것-히야네 데루오(比屋根照夫) 류큐대 명예교수
오키나와의 근현대사를 축으로 ‘10대 사건’을 골랐다. 억압을 받았던 오키나와의 체험에는 동아시아와 공통점이 많다. 여기에서 근현대사의 중요한 논점이 부각된다.
아시아 태평양 전쟁에 있어서 오키나와전은, 이러한 시점의 원점이 된다. 오키나와전은 일본 국내의 지상전이라기보다는 동아시아에서의 일본군의 지상전과 같은 양상을 나타낸다. 일본군은 오키나와의 주민을 보호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주민을 회색분자로 간주하여 학살했다. 중국과 동남아시아 전선에서도 일본군에 의한 주민 학살이 있었다. 그 연장선에 오키나와전이 있었다고 생각하는 것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오키나와전쟁 후, 오키나와는 일본에서 떨어져 나가 미군 통치 하로 넘어갔다. 미국은 냉전이 정점으로 치닫던 1950년대에 ‘총검과 불도저’로 형용되는 토지 접수를 강행하여 사람들의 생활을 파괴하였다.
그러한 상황 하에서, 오키나와전이란 도대체 무엇이었냐는 날카로운 의문이 제기되었다. 오키나와를 팔아버린 일본의 정책과 미국의 강경 정책이 밝혀져, 근대사의 재검토로 이어졌다.
오키나와에는 류큐 왕국의 독자적인 역사가 있었고, 일본에 편입될 때까지 아시아와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동아시아 공동체라고도 할 수 있는 책봉체제 안에서 다양한 예능 방면과 문학이 꽃을 피웠다. 이 관계를 단절시킨 것이 류큐 처분이었다.
단절과 동시에 일본으로의 동화 정책이 시작되었다. 오키나와에서는 근대의 입구에서 ‘탈아(脱亜)’와 ‘동화(同化)’가 함께 전개된 것이다. 나는 이를 “탈아동화”라 부르고 있다. 동화가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아시아와의 관계를 잘라 버리게 된다.
청일 전쟁은 그 전기가 되었다. 청은 류큐 문제에 대해 이의 제기를 하지 않게 되었고, 귀속 문제는 대국적으로 결착되었다. 그 후 “탈아동화”의 흐름을 강력하게 추진하게 되자, 오키나와의 문화는 열등, 야만, 비문명적이라고 여겨지게 되었다. 이것은 일본의 아시아관의 원형이 되는 것이다.
20 세기 초두가 되면 이하 후유(伊波普猷)와 같은 학자가 나타나, ‘오키나와인’의 역사 체험을 기반으로 한 오키나와 연구를 제창했다. 그것은 오키나와에 대한 차별과 편견의 타파를 목표로 한 것이었다.
이를 전후로, 아시아에서는 열강의 식민지 정책을 비판하는 지식인이 배출되기 시작했다. 필리핀의 호세 리살, 베트남의 판 보이 쩌우, 중국의 루쉰(魯迅) 등이다. 열강의 지배를 벗어나, 민족의 존엄을 어떻게 되찾을 것인가. 이것이 동아시아에서는 실천적인 학문으로서 일어났다. 거기에서는 오키나와 연구와의 사상적인 계보를 찾아 볼 수 있다.
제 2차 대전 후, 오키나와의 일본 복귀 운동은, 당초에는 소박한 내셔널리즘이었다. 그러던 것이 베트남 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질적 전환이 이뤄졌다.
가데나(嘉手納) 기지에서 B52 폭발 사고가 일어나자, 인근 주민의 불안이 높아졌을 뿐만이 아니라, 오키나와에서 출격한 B52가 베트남 북부에 가한 폭격으로 무고한 베트남인이 살해당하고 있는 실상도 인식하게 되었다. 그때까지의 복귀 운동은 ‘피해자로서의 오키나와’를 강조하고 있었지만, 오키나와가 베트남 전쟁에 가담하고 있다는 ‘가해자’ 의식이 싹트게 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반전 복귀 운동’에 나섰다. 이것이 그 후의 기지 반대 운동으로 이어져 갔다.
전후, 오키나와와 아시아의 관계는 단절되어 있었다. 그러나 가해자 의식이 자리를 잡게 되자 오키나와에서 아시아와의 공감이 생겨났다. 사람들이 진정한 아시아 이해의 열쇠를 잡았다는 평가를 내리고 싶다.
(인터뷰: 요시자와 다쓰히코 吉沢龍彦)
▼히야네 데루오(比屋根照夫) 류큐대 명예교수 약력
1939 년생. 근대 오키나와와 일본, 아시아 관계사를 연구. 현대 정치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있다.
▼히야네 데루오 교수의 “내가 선택한 10 대 사건”
① 아시아 태평양 전쟁과 오키나와전
② 일본으로부터의 오키나와 분리와 미군의 오키나와 통치 개시
③ 류큐 왕국의 폐절과 류큐 처분
④ 류큐 문제를 둘러싼 청일간의 분쟁
⑤ 청일 전쟁과 류큐 문제
⑥ 메이지 정부의 동화 정책과 오키나와 연구의 대두
⑦ 대만•조선 문제와 오키나와
⑧ 일본 복귀 운동의 고양
⑨ 베트남 전쟁의 격화와 반전 복귀 운동으로의 전환
⑩ ‘대리 서명’ 거부 투쟁과 기지 반대 운동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