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플로리다주에서 논란이 된 일부 투표소에 대해 검표를 했더라면 부시 후보를 앞지르지는 못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2일 미국의 AP통신과 CNN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 7개 언론사 컨소시엄이 시카고대학의 여론조사센터에 의뢰, 플로리다주에서 논란이 된 17만5000표에 대해 정밀 분석한 결과 고어 후보진영이 대법원에 제기한 검표 소송이 기각당하지 않고 받아들여졌더라도 부시 후보가 225∼493표 범위의 표차로 승리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컨소시엄은 플로리다주 전체 투표에 대해 검표가 이뤄졌을 경우 어떤 기준에 의하더라도 고어 후보가 42∼171표 범위 내에서 승리, 대권을 거머쥐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 컨소시엄은 △투표용지에 아무 후보에게도 기표가 안돼 개표기계가 인식하지 못한 6만2000표와 △1명의 후보 이상 복수 후보에게 기표된 11만3000표를 대상으로 정밀 분석작업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당시 논란은 투표용지에 기표 흔적만 남고 구멍이 제대로 뚫리지 않은 경우와 ‘채드’라고 불리는 천공밥이 제대로 떨어지지 않고 용지에 달라붙어 있는 경우, 천공기표 대신 ×표가 돼 있는 경우 등 각각의 사례에 대해 어떻게 판단할 것인가에 집중됐으며 이번 컨소시엄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자체적으로 유효투표로 판정했다.
지난해 대선에서 승부의 분수령이 된 플로리다주에서는 610만여표 가운데 2.9%에 해당하는 17만6000표가 무효표로 처리됐으며 부시 후보는 537표라는 근소한 차로 고어 후보를 누르고 플로리다의 선거인단을 차지, 백악관에 입성했다.
<워싱턴〓한기흥특파원>eligiu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