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이 꾸준히 오르면서 25개 자치구 중 80%의 집값이 문재인 정부 시절 전고점의 9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부동산원 6월 둘째 주(9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서울 평균 101.26으로 문재인 정부 시절 전고점(104.63)의 96.8% 수준을 기록했다. 사진은 16일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의 모습. 2025.06.16. [서울=뉴시스]
서울 아파트값이 크게 오르면서 경매 시장에서도 감정가보다 높은 가격에 낙찰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18일 경·공매 플랫폼 지지옥션에 따르면 이달 1~16일 서울 아파트 경매 시장에서 매각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 100%를 넘은 낙찰 사례는 24건으로 집계됐다. 올해 1~5월 매각가율이 100% 초과 사례가 월평균 25.4건이었다. 이달 들어 경매 수요가 더욱 몰리면서 매각가율 100% 초과 사례가 보름 만에 월평균에 근접한 셈이다.
이런 사례는 토지거래허가구역인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에선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경매로 낙찰받으면 실거주 의무 등 허가구역 규제를 적용받지 않기 때문이다.
11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한보미도맨션 전용면적 106㎡는 감정가 31억5000만 원보다 10억6000만 원가량 높은 42억1533만 원에 낙찰됐다. 매각가율 133.8%인 수준이다. 10일 서울 용산구 이촌동 강촌아파트 전용면적 84㎡는 24억700만 원에 낙찰됐다. 감정가 19억6000만 원보다 4억4600만 원 높은 가격(매각가율 122.8%)이다.
허가구역 외에서도 매각가율이 100%가 넘는 낙찰 사례가 나오고 있다. 서울 동작구 대방동 성원 전용면적 84㎡는 감정가보다 8000만 원 높은 13억310만 원(106.8%)에 낙찰됐다. 허가구역 확대 재지정 이후 투자 목적으로 경매를 통해 매입하려는 수요와 실거주 수요가 함께 몰리며 매각가율을 견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