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수 대란, 韓경제 스노볼 굴린다…전국서 품귀 아우성

  • 뉴스1
  • 입력 2021년 11월 7일 07시 48분


코멘트
충북 청주시 청원구 한 요소수 생산·판매 업체 앞에 빈통만 남은 원료 통이 놓여 있다. 2021.11.4/뉴스1
충북 청주시 청원구 한 요소수 생산·판매 업체 앞에 빈통만 남은 원료 통이 놓여 있다. 2021.11.4/뉴스1
경유(디젤) 자동차 운행 차질을 빚고 있는 요소수 대란으로 전국에서 아우성이 울려 퍼지고 있다.

사태가 빠른 시일 내 해소되지 않을 경우 문제가 눈덩이처럼 불어나 우리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된다.

7일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요소수 품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산업용 요소 또는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제조해 사용할 수 있는지 검토를 거쳐 이달 셋째주 초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요소수는 경유차(디젤차) 배출가스를 저감시키는 촉매 역할을 하며 석탄에서 추출한 암모니아를 원료로 만든다. 경유차는 2015년부터 배출가스 저감장치(SCR) 부착이 의무화됐는데 여기에 요소수를 넣어야 운행이 가능하다.

요소수를 제때 보충하지 않으면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출력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특히 화물차·버스 등 경유차에 필수품이다. 대형 화물 트럭의 경우 거의 매일 요소수를 보충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요소수 품귀는 중국에서 시작돼 우리나라 곳곳으로 번졌다.

중국은 호주와의 무역 분쟁으로 지난해 10월 석탄 수입을 금지당하면서 최근 들어 ‘석탄 대란’을 겪고 있다. 석탄을 원료로 하는 요소 생산이 줄어든 반면, 겨울을 앞두고 석탄·요소 수요는 늘어나면서 지난달 15일 요소에 대해 수출화물표지(CIQ) 의무화 제도를 시행해 사실상 요소 수출을 제한했다.

중국이 수출 제한을 풀지 않으면 지금과 같은 공급난이 수개월 이상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021.11.4/뉴스1
2021.11.4/뉴스1
산업계에서는 다음 달이면 국내 요소수 물량이 바닥나 화물 운송시장이 마비되는 등 물류 대란이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특히 국내 요소 시장은 중국산 의존도가 높아, 유독 한국의 타격이 크다고 한다.

현재 제주도에서는 당초 1만원이었던 10ℓ짜리 요소수가 이제는 10만원에도 구하기가 힘든 상황이다. 이는 대형 화물차 기준 300~400㎞ 주행 때마다 보충해 줘야 하는 양이다.

수도권인 경기 부천에서는 요소수 제조업체가 오전 일찍부터 물량 소진으로 판매를 중단하기도 했다. 요소수 보충을 위해 찾아온 트럭 운전사들은 발길을 돌리면서 막막함을 호소했다.

충북 보은에 있는 요소수 제조업체에는 공급 문의가 빗발치고 있지만, 신규 거래처에는 판매 자체가 불가능한 상태다.

심지어 농가마저도 요소 품귀에 따른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요소는 비료를 만드는 원료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는 국내 경제 전반에 중차대한 문제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중국이 지금처럼 요소수를 공급해 주지 못할 경우 우리 산업에 큰 위기가 올 수 있다”며 “품귀 현상이 지속된다면 운송 차질로 인해 수출이나 전반적인 우리 경제에 큰 악영향이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자칫 화물 운행이 ‘올 스톱’ 되면서 전체 산업의 물류 이동을 중지시킬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이미 불붙은 물가를 더욱 자극할 수 있다고도 봤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생각보다 크다”라면서 “우선 물가를 올리는 요인이 된다. 요소수가 모자라 운송·배달이 안 되면 대부분 품목의 가격이 오르게 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근원적으로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라는 관점에서 주요 수입 품목의 특정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특정 국가 수입 의존도가 80% 이상인 품목이 전체 수입 품목 10개 중 3개꼴로 나타났다. 이마저 절반 정도는 대중 의존이다.

지난 5일 한무경 국민의힘 의원이 올 1~9월 수입품 1만2586개를 분석한 결과, 3941개(31.3%) 품목의 특정 국가 의존도가 80%를 넘은 것으로 드러났다.

김정식 교수는 “근본적인 문제는 주요 산업 용품이라든지 부품의 대중 의존도가 너무 높아서 중국이 지금처럼 공급을 해 주지 못하면 위기가 온다는 점”이라며 “요소만 해도 96%를 중국에서 수입한다고 하지를 않나. 정부가 수입처를 분산시켜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봉 교수도 “(요소수를) 어떻게 공급 받을지, 다른 채널이 있는지 중국에 찾아봐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요소수 문제는 우리나라가 크고 다른 나라는 그렇게 크지 않다”라며 “다른 나라에서 새로운 공급처를 찾아야 한다. 예컨대 호주에도 있을 수 있는데, 우리는 호주와 관계가 나쁘지 않다”고 제안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