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하반기 신차출시후 판매 회복
연료별 차량중 가장 높은 성장세
‘가성비’ 세단도 SUV 제치며 부활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과 잇따른 화재 사고로 내리막길을 걷던 전기차 신차 등록 대수가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에 등록된 신차 중 전기차가 총 5만692대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3만6803대)보다 37.7% 늘었다.
2022년까지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던 전기차 시장은 충전 인프라 부족으로 소비자로부터 서서히 외면받았다. 지난해에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가 잇달아 발생하며 안전성에도 의문이 제기됐다.
그러나 전기차는 지난해 하반기(7∼12월) 이후 신차 출시에 힘입어 판매량을 회복했다. 특히 기아 ‘EV3’와 현대자동차 ‘캐스퍼 일렉트릭’ 등 저가 소형 모델들이 시장 진입 문턱을 낮춘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는 볼보의 ‘EX30’, 비야디(BYD)의 ‘아토3’ 등 수입차들까지 가세하며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넓히고 있다.
전기차 등록 대수는 연료별로 비교해도 가장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올해 1∼4월 하이브리드차는 14만8144대가 등록돼 전년(13만693대) 대비 13.3% 증가에 그쳤다. 같은 기간 휘발유 차량은 1.6% 감소한 26만4116대가 등록됐다. 경유차와 액화석유가스(LPG) 차량은 등록대수가 각각 25.5%, 7.6% 감소했다.
그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밀려 주춤했던 세단 역시 부활 조짐을 보이고 있다. 올 1∼4월 신규 등록된 세단은 14만6884대로 전년 동기(13만3366대) 대비 10.1% 증가했다. 같은 기간 SUV(27만9826대)가 증가율 3.2%에 그친 것과 비교하면 눈에 띄는 성장세다.
차량 가격이 줄곧 상승하는 등 고물가와 함께 경기 침체가 지속되며 동급 SUV 대비 연료 효율이 높고 가격 경쟁력이 뛰어난 세단이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현대차의 중형 세단 ‘쏘나타’는 2788만∼3869만 원 선으로 동일 제조사의 동급 SUV ‘싼타페’(3492만∼4598만 원)보다 약 700만 원 저렴하다. L당 공인 연비도 쏘나타가 9.4∼13.5km로 싼타페(9.7∼11km)보다 우수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