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공유
공유하기
동아일보|경제

은행채 발행한도 폐지… 과도한 수신경쟁 차단

입력 2023-10-04 03:00업데이트 2023-10-04 03:00
읽기모드 글자크기 설정 레이어 열기 뉴스듣기 프린트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작년 판매 고금리 예금 만기 도래
은행 채권 발행 자금 조달 길터줘
금융당국이 이달부터 은행채 발행 한도에 대한 제한을 폐지하기로 했다. 작년 말 은행권이 연 5%대 고금리로 판매한 100조 원 규모의 예·적금 만기(1년 만기 상품 기준)가 본격적으로 도래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은행권의 과도한 수신 경쟁을 막기 위한 조치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은행권의 자금 확보를 위해 올 4분기(10∼12월) 은행채 발행 한도를 폐지하기로 했다.

이번에 금융위가 은행채 발행 한도를 아예 풀기로 한 건 지난해 10월 불거진 레고랜드 사태 이후 은행권이 자금을 유치하기 위해 앞다퉈 연 5%대 고금리로 끌어모은 예·적금 상품들의 만기가 속속 돌아오고 있기 때문이다. 발행 한도를 풀어주지 않으면 자금 재유치를 위한 은행권 수신 경쟁이 과열될 수 있는 데다 시중은행에 비해 건전성이 낮은 대신 금리는 더 높은 제2금융권으로 자금 쏠림 현상을 촉발할 수 있다.

앞서 금융위는 레고랜드 사태로 채권시장의 불안이 커지자 우량 채권인 은행채로 자금이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해 두 달 뒤 은행채 발행을 사실상 중단시켰다. 차환 목적의 은행채 발행(월별 만기 도래 물량의 100%)만 허용한 것이다. 이후 올 3월엔 월별 만기 도래 물량의 125%, 넉 달 뒤엔 분기별 만기도래액의 125%로 발행 규모를 관리해왔다.

은행채 발행 제한이 풀리면서 당분간 발행액이 상환액보다 많은 순발행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은행채 물량이 늘어나면 회사채 수요는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3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11월부터 올 7월까지 5월(9595억 원)을 제외하고는 순상환 기조를 이어오던 은행채는 8월 3조7794억 원 순발행으로 돌아선 뒤 지난달(4조6800억 원)까지 순발행을 이어가고 있다.

황성호 기자 hsh0330@donga.com




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
댓글 0
닫기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