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세 우공, 36세 이준석[오늘과 내일/김승련]

  • 동아일보
  • 입력 2021년 6월 23일 03시 00분


코멘트

산을 옮기겠다던 노인이 진짜 리더
청년들이 우공다운 후보 선택해야

김승련 채널A 취재윤리·멘토링 에디터
김승련 채널A 취재윤리·멘토링 에디터
얼마나 어리석었기에 어리석을 우(愚)로 불렸을까. 그럼에도 내년 대선 후보로 우공(愚公)을 추천한다. 건넛마을로 가는 길이 산에 가로막히자 한 삽씩 떠내어 산을 옮기려 했다는 우공이산(愚公移山)의 주인공 말이다. 2000년 전 우공에게서 좋은 리더의 자질을 본 건 (담대한 토목공사 구상이 아니라) 나이 때문이다. 과장된 숫자겠지만, 그는 90세 노인이었다. 생전에 결실을 못 볼 게 뻔한데, 그는 30년 역사(役事)를 도모했다. 삽 한 자루로 산을 옮기자 했으니 마을에서 인심을 얼마나 잃었을까.

우공이 어렵다면 ‘우공 같은’ 대선 후보가 나와야 한다. 우공답다는 건 두 가지다. 자기 임기 5년만 생각하는 근시안을 벗어나느냐. 여기에 미래의 예산까지 정직하게 설명하는 용기가 있느냐다.

이 시대에 사라져버린 우공은 조롱받기까지 한다. 청와대와 여의도에서 “다음 선거만 생각하면 정치꾼(politician)이요, 다음 세대를 생각하면 정치가(statesman)”라고 했다간 외계인 취급받기 십상이다.

우공은 선거 때 손해를 각오해야 한다. 해고를 쉽게 해 일자리를 늘린 노동개혁(독일), 튼튼한 재정을 위해 연금과 세금을 더 걷은 재정개혁(프랑스, 캐나다)을 주도한 총리들이 그랬다. 꼭 필요한 정책을 폈건만 예외 없이 다음 선거에서 졌다. ‘우공’의 부재는 정치인 탓만 할 건 아니다. 언론이 좀 더 우공다움을 높게 평가했더라면, 유권자가 좀 더 깨어 있었더라면 달랐을 수 있다.

올 초 채널A에 출연한 국민의힘 의원이 여당 때 예산을 매년 4%밖에 증액시키지 않은 점을 후회하는 걸 지켜봤다. 문재인 정부는 달랐다. 평균 9% 정도 정부 씀씀이를 키웠다. 필요한 사업일 순 있겠지만, 이렇게까지 써야 할까 싶은 사업들이 적잖다. 가덕도 공항이 4·7 부산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되살아났고, 총선 땐 토목공사에서 예비타당성조사가 줄줄이 면제됐다.

우공의 정신은 정책의 포장 기술을 거부한다. 더 좋아 보이면서도, 돈 덜 드는 것처럼 만들지 않는 자존심이다. 우공이 산을 옮기는 데 30년간 금 30냥이 든다고 가정해 보자. “나는 살날이 5년쯤 남았으니 금 5냥이면 된다. 그 후론 모르겠다”고 말한다면 납득할 수 있을까. 하지만 이런 일은 벌어진다. 의료보장 혜택을 크게 늘린 문재인 케어는 임기 5년간 30조 원이 소요된다고 설명됐다. 그러나 고령화가 더 빠르게 진행되는 이후 10년, 20년 뒤 얼마나 더 부담이 필요한지 질문에 답하지 않고 있다.

문제는 누리는 사람과 부담하는 사람이 다르다는 데서 시작된다. 훗날 빚을 갚아야 할 2030세대는 관심도 부족하다 보니 어떤 설명도 듣지 못한다. ‘어리석을 리 없는’ 정책 입안자들은 슬쩍 넘어가곤 했다. 이제 36세 청년 당 대표가 뽑혔고, 25세 대학생이 청와대 청년비서관에 임명됐으니 달라질 수 있을까.

2030세대가 대선 후보를 평가하는 기준의 하나로 우공다움을 제시한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또래 청년 유권자들은 질문을 던지고, 후보들은 답해야 한다. △나랏돈이라고 허투루 쓰는 건 아닌지 △효과는 부풀리고 비용은 줄인 게 없는지 △임기 이후엔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누가 수혜자이고, 누가 비용을 부담하는지. 이 과정에서 어떤 후보가 먼 미래를 위한 비전을 지녔는지 우공다움이 드러날 것이다. 2000년 전 90세 촌로의 선택이 우리 2030세대의 표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질은 달라지지 않았다.

김승련 채널A 취재윤리·멘토링 에디터 srkim@donga.com
#우공#대선후보#이준석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