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드론길 내비’ 2021년까지 만든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6월 20일 03시 00분


코멘트

이통사들 드론 인프라 구축 박차


“자동차가 사막에 놓여 있다면 움직일 수 없다. 길이 없기 때문이다. 드론에도 건물, 전봇대 등 지형지물과 충돌 위험이 없는 최적화된 경로를 알려줄 내비게이션이 필요하다. KT는 이런 ‘드론 길 안내 시스템’을 만들고 있다.”

드론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이동통신사들이 드론과 관련한 수익화 방안을 찾고 있다. 가장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곳은 KT다. 박정호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 상무는 16일 서울 광화문 KT사옥에서 차세대 먹거리로 떠오른 드론 시장을 선점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국내에서 드론 관련 인프라 수요는 지금은 거의 없는 상태지만, 향후 3∼5년이면 성장을 시작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세계 드론 시장 규모는 2014년 64억 달러에서 2023년 115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미국 컨설팅사 틸그룹은 전망하고 있다.

KT는 올해 2월 항공우주연구원과 오차 1m 이내의 한국형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을 2022년까지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지난달에는 국토부와 드론의 안전 운행을 위한 ‘저고도 무인항공기 교통관리(UTM)’ 플랫폼을 2021년까지 개발키로 했다.

초정밀 GPS와 UTM 모두 드론 비행에 필수적인 기술이다. 미국은 2014년부터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주축이 돼 UTM을 구축하고 있다. UTM은 드론과 드론, 드론과 건물 간 충돌을 막고,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게 갈 수 있는 길을 제공하는 내비게이션 역할을 한다.

국내에서 드론이 활성화되려면 규제 완화, 비행 안정성 확보 등 해결돼야 할 과제가 많다. 현재 국내에서는 드론의 비가시권 비행과 야간비행이 금지돼 있고, 국토부에서 허용한 7개 시범 공역 외 대부분 지역에서 드론 비행이 불가능하다. 한재국 KT 미래융합사업추진실 차장은 “초정밀 GPS와 UTM 플랫폼이 구축되고, 시범사업을 통해 안전성이 확보된 이후 규제가 풀릴 것으로 내다보고 사업화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KT는 UTM 구축이 완료되면 해당 플랫폼을 영상 관제와 재난 안전 분야에 우선 적용할 계획이다. 야간에 사람을 대신해 드론이 순찰을 돌거나, 자연재해나 지자체 시설물 균열 등 재난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방식이다. 드론이 민간 영역까지 활성화되면 KT가 구축한 시스템을 지자체 및 기업에 제공하는 방식의 사업화도 가능하다. 박 상무는 “지자체나 택배, 농업 등 민간 영역에서 드론 비행을 위한 플랫폼이 필요하다. KT가 클라우드 기반으로 UTM 등 플랫폼을 해당 기업에 제공할 수 있다. 5G가 상용화되면 이를 활용한 드론 전용 통신서비스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드론의 사업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SK텔레콤은 5세대(5G) 통신이 상용화되면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전파방해 없이 안전하게 드론이 비행하기 위해서는 롱텀에볼루션(LTE)이나 5G 통신 기술이 핵심적이기 때문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5G 통신 기술은 초고속 드론이 재난지역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제센터에 전달하는 등의 서비스에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서울 상암DMC에서 LTE 모듈을 설치한 드론이 촬영한 영상을 LG유플러스의 모바일 동영상 서비스 ‘LTE비디오포털’로 실시간 송출하는 기술을 시연했다.

김재희 기자 jetti@donga.com
#kt#드론#내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