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전격 실시된 롯데쇼핑에 대한 국세청의 강도 높은 세무조사에 대해 유통업계 관계자는 이같이 말했다. 정부가 유통 대기업을 경제민주화의 ‘걸림돌’로 보고 있는 만큼 공정거래위원회에 이어 국세청까지 나서는 게 아니겠느냐는 시각이다.
당연히 롯데그룹은 초긴장 상태다. 게다가 기존 정기 세무조사와는 성격이 다른 징후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우선 ‘국세청의 중수부’로 불리는 서울지방국세청 조사4국 150여 명이 조사를 맡았다. 2월부터 4개월 동안 진행된 롯데호텔 세무조사 결과를 통보하지 않고 곧바로 롯데쇼핑 세무조사에 들어간 점도 미심쩍은 부분이다.
롯데쇼핑에 대한 세무조사 기간은 120일로 내주 초 국세청 직원들의 베이스캠프가 소공동 롯데쇼핑 본사 인근에 설치될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의 복잡한 순환출자구조와 일감 몰아주기, 협력업체와의 불공정 거래 여부 등에 조사의 초점이 맞춰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올 초 국세청이 세수 확보를 위해 대기업의 비자금과 불공정 거래, 편법 증여 및 상속 여부를 집중 단속하겠다고 공언했기 때문이다.
유통업계에서는 세무조사 범위의 확대를 우려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사정 당국의 칼끝이 결국 롯데 오너 일가를 향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놓는다. 롯데쇼핑은 롯데그룹 70여 개 계열사의 복잡한 순환출자구조의 중심에 있는 데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전체 지분의 13.46%를, 신 회장의 형인 신동주 일본롯데부회장이 지분의 13.45%를 보유하고 있다. 신동빈 회장은 최근 복잡한 순환출자 구조를 해결하기 위해 계열사의 자사주를 매입 중이다.
재계에서는 ‘CJ그룹 다음의 타깃은 롯데’라는 소문이 끊이질 않아 왔다. 롯데그룹이 지난 정권에서 ‘제2롯데월드’와 같은 숙원 사업을 이룬 데다 각종 인수합병(M&A) 등으로 급성장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롯데는 현 정부가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유통업계의 1위 기업이라는 상징성이 있다는 게 재계의 관측이다. 롯데그룹 관계자는 “우리가 전 정권에서 특혜를 받았다는 논란은 소문일 뿐 사실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온라인 유통 대기업인 국내 최대 오픈마켓업체 이베이코리아 역시 지난달 초부터 국세청의 세무조사를 받는 것으로 17일 알려졌다. 이와 관련해 이베이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국세청 측이 세무조사 일정을 미리 통보해 주고 진행 중인 정기 세무조사이며 7월 말쯤 끝날 것으로 보인다”며 “조사를 담당하는 곳도 조사4국이 아닌 일반 부서”라고 강조했다.
김현수 기자 kimhs@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