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저축은행이 10월 안으로 증자에 실패하면 내년 초 퇴출 절차에 들어갈 소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6월 말 현재 영업 중인 93개 저축은행 가운데 43개(46.2%)가 영업적자를 냈으며 이 중 10개는 완전 자본잠식에 빠졌다고 2일 밝혔다. 특히 금감원의 영업정지(퇴출) 기준에 해당하는 저축은행은 3곳이었다. 퇴출 기준은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1%에 못 미치고 순자산도 마이너스인 곳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경영개선명령 대상인 BIS 비율 1% 미만 저축은행은 총 12곳으로 퇴출 기준에 해당하는 3곳을 제외한 9곳 중 6곳은 예금보험공사가 직접 관리하고 있다. 예보가 관리하는 저축은행은 현재 매각을 추진 중이며 만약 주인이 계속 나타나지 않으면 가교 저축은행으로 계약을 옮기기 때문에 예금자들이 피해를 보지는 않는다. 나머지 3곳은 2011회계연도 결산일이 지나서야 가까스로 증자를 마쳐 일단 퇴출위기를 면했다.
금감원은 퇴출 잠재후보인 3곳에 이미 증자 요구를 한 상태다. 안종식 금감원 저축은행감독국장은 “만약 증자에 실패하면 3개월 이상 걸리는 현장검사와 이의제기 등을 거쳐 영업을 정지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 국장은 “다만 현재로선 이들이 퇴출대상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말했다.
한편 93개 저축은행의 2011회계연도(2011년 7월∼2012년 6월) 영업실적은 1조2098억 원 적자였다. 지난해(2조2037억 원)보다 적자규모는 줄었지만 여전히 경영이 부진한 상황이다.
저축은행 경영 악화는 업계 1위인 현대스위스저축은행도 예외가 아니었다. 금감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해당 저축은행의 계열사인 1, 2, 3저축은행이 각각 621억 원, 273억 원, 103억 원의 적자를 냈다. 현대스위스저축은행은 퇴출을 피하기 위해 일본 금융회사인 SBI와 인수 혹은 증자를 협의 중이다.
지난해 20개의 저축은행을 일제 정리했는데도 위기가 계속되는 것은 저축은행 부실자산 대부분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기 때문이다. 부동산 PF는 건설사와 시행사, 금융회사 등으로 이해관계자가 다양한 데다 사업기간도 길어 청산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이 때문에 저축은행들의 고정이하 여신비율도 상승 추세다. 고정이하 여신은 채권을 회수하기 힘든 부실대출을 말한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 6월 말 현재 저축은행의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20.0%로 지난해 6월 19.7%보다 높아졌다.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40%를 넘긴 저축은행만 10곳에 이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