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 운송업체들은 이날 화물연대가 23일까지 업무에 복귀하지 않으면 계약 해지는 물론 소송도 불사하겠다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이에 맞서 ‘강력 투쟁’을 선언해 사태는 장기화될 전망이다.
이날 경기 의왕시 경인 내륙컨테이너기지(ICD)의 반출입 컨테이너 물량은 화물연대 소속 조합원들의 작업 거부로 평소의 30%에도 미치지 못했다.
▼관련기사▼ |
- "툭하면 물류파업 부산항 못가겠다" |
부산항 인천항 광양항 등 전국 주요 항구의 컨테이너 반출입량도 평소의 60%대로 떨어졌다. 또 선박에서 내려놓은 컨테이너가 점점 쌓여가 화물연대의 집단행동이 주말을 넘길 경우 부두 야적장이 포화상태에 이를 것이 우려된다.
강원 삼척과 충북 제천 단양 등지의 시멘트 운송도 사실상 전면 중단된 상황이다.
대한통운 한진 등 12개 컨테이너 운송회사들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대책회의를 열고 “화물연대가 23일까지 운송을 재개하면 운송료를 평균 13% 인상해주겠지만 이를 지키지 않으면 위수탁 계약을 해지하고 다시는 일감을 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또 운송 차질로 발생한 손해액을 산정해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등 민형사상의 모든 조치를 강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는 별개로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자동차 등 9개 주요 화주(貨主)들도 화물연대의 운송 거부에 대해 소송을 준비하겠다고 밝히는 등 집단행동 철회를 압박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화물연대는 이날 성명을 발표하고 “지도부에 대한 형사처벌을 내세운 정부와 운송업체가 결탁해 정당한 요구를 탄압하면 조직의 명운(命運)을 걸고 싸울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화물연대는 23일 서울 부산 포항 등 11개 지부별로 대규모 집회를 동시에 열고 조합원들의 결의를 다지기로 해 경찰과의 충돌이 우려된다. 화물연대와 화주 및 운송업체 대표들은 22일 새벽까지 컨테이너 분야 협상을 한 뒤 아직까지 재교섭 일정을 잡지 못한 상태다.
정경준기자 news91@donga.com
황재성기자 jsonhng@donga.com
![]() | ![]() ![]()
|
| |
![]()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