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행·가혹행위·뒷돈” 끊이질 않는 학교 운동부 잡음

  • 뉴시스
  • 입력 2019년 9월 15일 10시 02분


코멘트

과도한 얼차려와 폭력 여전, 고소-고발에 유죄 판결도
훈련비 명목 월정액 챙기기, 선배의 상습폭행 사례도
성적 지상주의·폭력 대물림·고용 불안 등 복합적 작용

신체적 가혹 행위나 폭행, 심지어 부적절한 뒷돈 요구까지 학교 운동부를 둘러싼 잡음과 갈등이 끊이질 않으면서 교육 당국의 강도높은 자정 노력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운동부 ‘스쿨 폭력’과 금품 수수를 뿌리뽑기 위해서는 지도자 처우 개선과 ‘폭력의 대물림’ 근절을 위한 근본적인 처방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적잖다.

15일 전남도 교육청과 전남체육회 등에 따르면 순천의 한 여중·여고운동부에서 학생들을 지도한 A코치가 학부모 8~9명으로부터 매월 30만원 가량을 ‘훈련비’ 명목으로 받아 챙겼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교육청과 체육회가 진상조사에 나섰다.

A코치는 전남체육회 조사에서 돈을 받은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지도자 인건비와 공과금, 세금 등으로 사용했다’고 밝혔으나, 검찰 조사 등 파문이 확산되면서 지난달 사직서를 제출했다.체육회는 스포츠공정위를 열어 자격 정지 등 후속 조치를 진행될 계획이다. 도 교육청도 수사 결과를 지켜본 뒤 감사 등 관련 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광주의 한 중학교 배구부에서는 감독과 코치, 학부모 간의 갈등으로 내홍을 겪고 있다.

일부 학부모가 공개석상에서 코치의 폭언과 따돌림으로 인한 스트레스, 지도력 부족에 따른 성적 저하, 선수 이탈에 겸직 규정 위반을 문제 삼으며 ‘코치 교체’를 요구했고, 이에 해당 코치는 “부임 직전 터진 성추문 사건으로 이미 와해된 배구부를 재건하는데 올인했는데 억울하다”며 맞서고 있다.

해당 학교에서는 배구부 감독의 공금 유용 의혹도 불거진 상태다.

앞서 지난 6월에는 “왜 경기에 집중하지 못하느냐”며 운동부 제자에게 과도한 얼차려를 지시하고 신체 일부를 폭행했다가 재판에 넘겨진 광주 모 중학교 운동부 코치에게 1심에서 집행유예부 징역형이 선고되기도 했다.

선·후배 간 폭행도 발생했다. 지난달 전남의 한 고교 야구부에서 3학년 학생이 1학년 후배를 상습 폭행, 피해 학생이 극단적 선택까지 시도했다는 주장이 제기돼 물의를 빚고 있다.

신입생 B군은 진술서를 통해 “입학 후부터 6개월 남짓 3학년 선배로부터 폭언과 구타에 시달려 왔다”고 주장했다. 지난 6월에는 장염으로 제대로 훈련받지 못하자 또 다시 뺨을 맞았고 ‘시키는 것도 못하느냐. 잘하는게 뭐냐’며 인신공격까지 당했다고 주장했다.

참다 못한 그는 “지옥에서 벗어나고 싶다”며 손목 자해와 옥상 투신 등 극단적 선택까지 수 차례 시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경찰이 수사에 나선 상태여서 파장은 불가피해 보인다.

교육 당국이 학교 운동부 전수조사에 나서 폭력이나 따돌림, 가혹행위 관련자는 영구 퇴출시키겠다고 공언했으나 ‘소나기 피하기식 행정 아니냐’는 지적은 끊이질 않고 있다.

광주시 교육청이 지난 2015년 135개 초·중·고 운동부 선수 171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 44명이 ‘욕설이나 협박, 괴롭힘, 따돌림 등 심리적 폭력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고, 39명은 ‘심한 기합이나 얼차려로 신체적 고통을 받았다’, 28명은 ‘손발이나 몽둥이로 구타 당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피해자 중 6∼7명은 가해자로 코치를 첫손에 지목했고, 다음으로 선배, 동료 순이었다.

이를 두고 성적 지상주의, 금메달 제일주의에 계약직 지도자들의 고용 불안과 70∼80년대식 훈육 방식이 더해지면서 그릇된 관행이 뿌리내렸다는 진단이 내려졌고, 이후 교육청과 교육부 차원의 당근과 채찍이 나왔으나 여전히 운동부 잡음은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다.

2003년 천안의 초등 축구부 합숙소 화재사건을 계기로 전면 폐지하기로 한 운동부 합숙소도 원거리 통학생들의 거주비 부담 증가와 관리 부실, 대학 진학 등을 이유로 강제성이 더뎌지면서 올 상반기에만 광주 9개교 122명, 전남 29개교 300여 명이 합숙훈련 중이다.

체육계 한 관계자는 “맞으면서 운동을 배운 지도자가 또 다시 매(폭력)로서 다스리는 ‘폭력의 대물림’과 비정규직 지도자들의 고용불안 등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전문가는 “엘리트체육에서 스포츠클럽 문화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과도기적 갈등일 수 있다”며 “인기 종목은 물론 사각지대인 비인기 종목에서도 과거 잔존 의식을 지우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시 교육청 한 관계자는 “단체종목의 경우 정신력과 팀웍을 중시하다 보니 과거 방식의 지도가 이뤄지는 경우가 왕왕 있다”며 “성적 못지 않게 스포츠 인권과 인성교육을 통해 민주적으로 팀이 운영될 때 비로소 잡음이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광주=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