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딜 10대 프로젝트 ‘동남권 신공항’… 유치전 가열

  • 입력 2008년 12월 26일 02시 57분


부산 가덕도 “24시간 개방 해상공항으로”

밀양시 하남읍 “부지 확보-내륙접근성 강점”

《최근 정부의 뉴딜 10대 프로젝트로 ‘동남권 신공항’이 선정되면서 제2허브공항의 입지가 초미의 관심사항으로 떠올랐다. 국토해양부가 내년 9월에 동남권 신공항 입지를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예상 입지를 놓고 벌써부터 지방자치단체 간 신경전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다. 현재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 및 타당성 용역’을 수행하고 있는 국토연구원은 내년 9월까지 부산과 대구, 울산, 경남·북에서 추천한 10여 곳의 후보지 중 1, 2곳을 선정해 국토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부산 “철도-공항-항만 복합물류 가능”

하남 “평지 넓어 건설비도 적게 들어”

○ 부산 가덕도-밀양 하남읍 2파전

수면 위로 드러난 후보지 중 가장 유력한 곳으로는 부산 가덕도와 경남 밀양시 하남읍 지역.

국토부에서 동남권 신공항 입지 선정 및 타당성 용역을 받아 수행하고 있는 국토연구원은 지난달 말까지 5개 시도에 적정지 5곳씩 추천해 달라고 했다.

부산은 가덕도 남쪽 해안을 단일 후보지로 냈고 경남은 밀양 하남, 마산 구산, 거제 장목, 하동 금성, 사천 서포 등 5개 후보지를 추천했다. 대구 경북권은 경북 영천과 경주, 울산은 서생을 추천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산은 민원 발생이 없고, 24시간 개방으로 제2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있는 곳은 가덕도 해상공항이 최적지라고 여기고 있다. 경남도는 5곳을 후보지로 찍었지만 동남권 전체를 아우르는 곳으로는 밀양 하남을 적지로 보는 분위기다.

후보지를 압축한 단계에서 공론화해야 한다는 입장인 대구와 경북, 울산은 “후보지를 알려줄 수 없다”면서도 영남권 주요 도시에서 1시간 거리에 있는 하남읍 지역에 대해 암묵적인 지지를 보내고 있다.

국토부가 내년 9월 후보지를 한 곳만 낼지, 복수로 선정할지는 단정하기 어렵다. 일부에서는 해당 지역 광역자치단체의 협의체인 ‘동남권행정협의회’ 등을 통해 사전 조율이 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영남권 5개 시도 정무부단체장은 10월 울산롯데호텔에서 열린 광역경제권 구축을 위한 간담회에서 현재 동남권 신공항 건설에 대한 타당성 및 입지 선정 용역 결과가 나오면 대승적인 견지에서 수용하자는 의견을 모으기도 했다.

○ 매립 비용-민원 가능성 단점

부산시는 신공항의 입지조건은 지역 이기주의나 정치적 논리보다는 국가경쟁력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광역교통망이 구축된 상태에서 24시간 개방과 민원 요인인 소음 피해가 없는 지역은 가덕도 해상공항만이 가능하다는 것. 철도와 공항, 항만의 트리플 복합물류가 가능한 것도 장점이다.

그러나 바다 매립에 따른 지나친 공사비와 철새 도래지인 을숙도 인근이라는 점, 대구 경북 울산과의 거리 문제도 단점으로 거론되고 있다.

가덕도 해상공항의 사업비는 공유수면 매립 등을 포함한 용지 조성비 5조7500여억 원 등 총 10조7188억 원이 들 것으로 추정됐다.

경남도는 하남읍 일대가 인천공항보다 약간 작은 16.5km²의 용지 확보가 가능하고 대구 경북, 울산에서도 1시간 이내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최대 강점으로 친다. 평지가 넓어 건설비가 적게 든다는 장점도 있다.

그러나 해발 544m의 덕암산과 삼범고개(467m), 애기바위(367m), 석룡산(493m) 등 깎아야 할 산이 많은 데다 자연마을의 이전, 항공기 소음민원 등이 단점이다.

공사비는 8조 원가량으로 추정된다.

대구경북연구원 정웅기(43) 교통물류연구팀장은 “동남권 신공항이 제2 관문공항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객관성과 안전성, 충분한 용지 등이 확보된 가운데 영남 5개 도시에서 1시간 이내인 곳이 최적지”라고 말했다.

부산=조용휘 기자 silent@donga.com

창원=강정훈 기자 manma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