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전사자 유해 고향 지나자 “이젠 저희가 지켜드리겠다”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7월 28일 16시 14분


코멘트
6·25전쟁에서 전사한 故 최임락 일병 등 국군전사자 7위의 유해를 모신 공군 다목적공중급유수송기(KC-330, 시그너스)가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진입하자 엄호비행을 맡은 F-35A 프리덤나이트 편대. 공군 제공
6·25전쟁에서 전사한 故 최임락 일병 등 국군전사자 7위의 유해를 모신 공군 다목적공중급유수송기(KC-330, 시그너스)가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에 진입하자 엄호비행을 맡은 F-35A 프리덤나이트 편대. 공군 제공
고(故) 최임락 일병 등 6·25전쟁 국군전사자 유해 7위가 하와이로부터 서울공항에 도착하기까지 과정이 28일 공개됐다. 대통령실은 이날 공군 조종사의 육성 기내방송 등과 함께 유튜브 채널에 이같은 영상을 올렸다.

공개된 영상에는 수송기가 약 7300㎞를 날아와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카디즈)에 진입하자 공군 F-35A 스텔스 전투기 4대가 호위를 하는 등 최고의 예로 맞이하는 모습이 담겨 있다. 전투기 조종사는 수송기를 바라보며 거수경례하기도 했다.

또다른 영상에서 봉환 임무를 맡은 공군 김태용 소령은 기내방송을 통해 “대한민국은 최임락 일병님을 포함한 7분의 호국영웅이 있었기에 자유민주주의 국가로 거듭날 수 있었다”며 “지키고자 하셨던 숭고한 가치, 이제는 저희가 지켜나가겠다”고 말했다.

김 소령은 수송기가 고 최 일병의 고향인 울산 상공을 지나자 “울산은 73년 동안 많이 변했지만 고국으로 모시고자 하는 저희 마음은 변함이 없었다”며 “이제는 저희가 지켜드리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필승’ 구호와 함께 거수경례했다. 그는 착륙을 앞두고 “고향땅 밟는 순간까지 안전하게 모시겠다”고 했다.

거수 경례하는 조종사.
거수 경례하는 조종사.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26일 서울공항에서 진행된 봉환 행사에 직접 참석해 돌아온 영웅들에게 최고의 예우를 갖췄다. 윤 대통령은 이날 “73년의 세월이 지났지만 최 일병을 조국의 품으로 다시 모시게 돼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날 유해 봉환 행사는 현 정부에서 처음 열린 사례다.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hs87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