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기획]청년-시니어공공외교단 ‘착한 코리아’ 알리기 앞장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2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한국의 공공외교 어디까지 왔나

지난달 9일 한미 언론인 교류 프로그램 참여차 미국 워싱턴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를 방문했다. CSIS 연구원과의 인터뷰를 위해 기자들이 안내받은 회의실은 일본인 기부자의 이름을 딴 방이었다. 이곳에서 한일 관계, 한미 관계에 대한 토론이 오갔고 미국 싱크탱크로부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법적 책임을 지는 것은 어렵다’ ‘한국이 중국에 경도돼 있는 것으로 비칠 수 있다’ 등 일본의 논리를 그대로 들을 수 있었다. 일본 공공외교의 힘을 새삼 확인한 순간이었다.

공공외교는 국가 브랜드 가치를 높여 결국에는 국제사회에서 우리 영향력을 높이려는 활동이다. 군사, 경제 같은 ‘하드파워’ 대신 문화, 예술 같은 ‘소프트파워’를 발휘하는 외교. 다르게 표현하면 착한 영향력을 확대하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외국인 개인뿐 아니라 대학, 언론, 비정기구(NGO)를 대상으로 한다.

1965년 미국 전직 외교관인 터프츠대 에드먼드 걸리온 교수가 ‘에드워드 머로 공공외교센터’를 설립하면서 공공외교란 용어가 처음으로 사용됐다. 냉전 구조 아래서 상대 국가의 정책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여론을 움직이려는 정책을 의미했다. 1990년대 들어 냉전이 종식되면서 공공외교의 중요성이 감소하다가 2001년 9·11테러 등 종교·지역 분쟁이 늘면서 다시 공공외교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주주의 확산, 통신수단 혁명으로 ‘피플 파워’가 중요해진 것도 배경이다.

이에 따라 한국도 공공외교를 강화하고 있다. 2010년을 ‘공공외교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178개 재외공관을 중심으로 현지에 맞는 맞춤형 공공외교 사업을 독려하고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KF)이 각국 오피니언 리더, 차세대 지도자 등을 대상으로 ‘한국 네트워크’ 구축에 나섰고 청년공공외교단 시니어공공외교단 등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공공외교 사업도 있다. 외교부는 올해 안에 ‘공공외교 활성화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공공외교 사업을 본격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내년 공공외교 예산은 올해보다 10억 원이 늘어난 143억 원이다.

우경임 기자 woohah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