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당, 친노그룹 ‘처리’ 고민

  • 입력 2007년 12월 21일 02시 58분


코멘트
“인적 쇄신 없으면 총선 참패” 목소리 높아

鄭, 당분간 칩거 뒤 직접 당권장악 나설 듯

대선에서 참패한 대통합민주신당이 내년 1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이르면 다음 주부터 본격적인 당 수습 및 총선 체제로 돌입할 태세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계파별로 분리된 복잡한 당내 사정과 당 쇄신론 및 단합론이 서로 팽팽하게 맞설 것으로 예상돼 대선 후폭풍이 일 것으로 보인다.

대선 패장이 된 정동영 후보는 당분간 일선에서 물러나 향후 거취를 고민할 것으로 보인다.

▽단합론 대 쇄신론 충돌=대통합민주신당은 20일 서울 영등포구 당산동 당사에서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과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당의 진로를 논의했다.


▲ 영상 취재 : 김동주 기자

정 후보는 이 자리에서 “선거는 졌지만 우리는 단합했다. 앞으로 더 단단해지고, 더 진실해져서 우리들이 추구하는 가치가 국민으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단합을 강조했다. 패배 후유증이 워낙 큰 탓에 당내에선 아직 ‘대선 실패 책임론’을 거론하는 목소리는 들리지 않고 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당 쇄신’ 요구가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다.

한 초선 의원은 “이번 대선에서 실패한 가장 큰 원인이 참여정부 승계 세력, 국정실패 세력이라는 점 아니었느냐”면서 “인적 쇄신 없이 현재 모습대로 총선에 나갈 경우 또다시 참패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인적 쇄신론의 핵심 대상으로는 친노(親盧·친노무현 대통령) 그룹이 꼽힌다.

당의 한 고위관계자는 “20명의 김한길 의원 그룹이 2월 열린우리당을 탈당했을 때 구상한 시나리오는 친노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중도성향 의원들과 민주당을 결합해 새로운 대안 정당을 만들겠다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정 후보가 그 같은 새 정당의 대선 후보였다면 그렇게 참패하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총선 승리는 당이 얼마나 달라진 모습을 보이느냐에 달려 있고, 이는 결국 친노 그룹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로 귀착된다”고 강조했다.

새 지도부를 어떤 모습으로 구성할지도 불씨로 남아 있다.

당내에서는 현 상태로는 전대를 정상적으로 치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당 대표를 경선 없이 합의 추대 형식으로 뽑아야 한다는 인식이 광범위하게 퍼져 있다.

문제는 지도부 구성 방식이다. 집단지도체제, 단일지도체제, 비상대책위원회체제 등 3가지 주장이 서로 맞서고 있지만 당내 6개 계파가 동등하게 지분을 나눠 갖는 집단지도체제가 좀 더 힘을 얻고 있는 형국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분란은 줄일 수 있지만 지도력 부재 및 지분 나눠 먹기로 현재의 위기 상황에서는 ‘최악의 선택’이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길목에 선 정동영=정 후보는 부인 민혜경 씨와 광주 가톨릭계 정신지체장애인시설인 ‘사랑의 집’에서 당분간 휴식을 취하며 향후 진로를 구상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 후보는 과거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처럼 조직과 자금이 튼튼한 것도 아니고 정치적 영향력도 적기 때문에 막후에서 실권을 행사하기는 어렵다.

이 때문에 내년 전대 및 총선에 정 후보가 적극 개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600만 표를 얻은 정 후보 말고는 당의 구심점이 될 만한 인물이 없다는 것이다.

당 일각에서는 정 후보가 계보 의원 및 연대 가능한 김한길 의원 그룹, 정대철 전 총괄선대위원장 등과 손잡고 당권을 장악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선 패장으로서 ‘책임론’이 대두되면 당장 일선에 나서기는 어렵기 때문에 당권을 장악한 후 향후 재·보궐선거 등 계기가 생기면 전면 복귀한다는 구상이다.

54세에 불과한 정 후보가 정계은퇴를 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는 것이 당내 중론이다. 그러나 정 후보가 당분간 정치 전면에서 물러나 숨을 골라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1년여 외유 등을 통해 새로운 정치에 대한 구상을 한 뒤 때를 기다려야 한다는 것이다.


▲ 영상 취재 : 김동주 기자


▲ 영상 취재 : 김동주 기자


▲ 영상 취재 : 김동주 기자


▲ 영상 촬영 : 김동주 기자


▲ 영상 촬영 : 김동주 기자

이진구 기자 sys1201@donga.com

민동용 기자 mind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