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칼럼/이헌진]中 ‘소프트웨어 굴기’는 언제쯤

  • Array
  • 입력 2011년 10월 24일 03시 00분


코멘트
이헌진 베이징 특파원
이헌진 베이징 특파원
베이징 상하이 등 중국 대도시에 처음 발을 내디딘 한국인은 눈이 휘둥그레진다. 하늘 높이 치솟은 마천루들이 즐비한 스카이라인, 넓은 도로, 5대 중 1대꼴로 눈에 띄는 벤츠를 비롯한 온갖 외제차…. 세계 최대 공항인 베이징 서우두(首都)공항에서부터 지저분하고 못사는 나라라는 고정 관념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진다. 10년 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상하이 푸둥 지구를 보고 “천지가 개벽했다”고 말했지만 지금도 적잖은 한국인들은 비슷한 느낌을 받는다. 엄청난 빈부격차, 만연한 부패 등 중국의 부정적인 면이 떠오를지라도 중국 대도시가 주는 시각적인 충격은 크다. 서구 언론에 무성한 중국 위협론이 피부에 와 닿는 느낌을 준다.

최근 베이징의 동아일보 지국사무실을 옮겼다. 이사는 짐이 많건 적건 골치 아픈 일이지만 베이징으로 상징되는 중국의 또 다른 모습을 체험하는 좋은 기회였다. 트럭에 짐을 싣고 새 사무실이 위치한 단지에 도착했다. 경비원(중국에서는 보안이라고 부른다)은 열쇠를 못 찾겠다면서 단지의 대문을 열어주지 않았다. 그 많은 짐을 돌고 돌아 날라야 했다. 당초 3시간이면 끝날 일이 5시간이 넘어도 끝나지 않았다. 입이 부을 대로 부은 일꾼들에게 당초 약속한 금액보다 돈을 더 줘야 했다.

전화 이전은 더 큰 일이었다. 여러 차례 사전 문의를 통해 “이사 날 잠깐이면 된다”는 말을 들었다. 그래도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 이사 이틀 전에 미리 이전해 놓으려 했다. ‘아뿔싸.’ 전화 설치기사는 “일이 밀려 있어서 적어도 나흘은 걸린다”고 말을 바꿨다. 그는 ‘일이 밀려 있어도’ 주말은 칼같이 지켰다. 결국 엿새 만에 전화를 이전했다.

인터넷 설치는 이보다 하루가 더 걸렸다. 인터넷 연결은 전화선에 모뎀을 꽂는 방식이다. 한국에서는 한참 전에 사라진 모델이다. 전화에 모뎀을 연결하면 바로 인터넷이 연결되는 구조인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되지 않았다. 설치기사는 별문제 없을 거라면서 수차례 “마상커이(馬上可以·금방 된다)”를 외쳤으나 인터넷에 접속하기까지는 거의 하루가 걸렸다. 중국에서 ‘마상(금방)’은 어떨 때는 사전적 의미 그대로 ‘금방’이고, 어떤 때는 몇날 며칠이 되는 고무줄 개념이라는 것을 다시 실감한 하루였다.

1GB(기가바이트)를 받는 데 몇 시간이 걸리는 인터넷 속도를 올려볼까 싶어 문의했더니 광케이블이 깔린 한국 일반 가정 수준의 속도로 올리려면 매월 최소 550만 원의 사용료가 필요하다고 했다.

신문은 아침에 배달되지 않았다. 관리실에서 한꺼번에 배달하는데 관리사무소 직원이 늦게 출근한다는 것이다. 옛 사무실 집주인은 이사 나올 때 사무실을 둘러본 후 보증금을 전액 돌려주기로 합의하고도 이사를 나온 지 5일 뒤에야 약속 금액보다 적은 돈을 돌려줬다. 이사 후에 다시 자세히 살펴보니 당시 보이지 않던 문제가 나왔다는 것이다.

사소하지만 심신을 꽤나 피곤하게 만드는 생각 밖의 엉뚱한 일들이 자꾸 발목을 잡았다. 그것도 중국의 굴기(굴起·떨쳐 일어섬)를 상징하는 중국의 수도, 베이징에서 말이다.

이사를 해보니 중국의 2% 부족한 모습이 곳곳에서 눈에 띄었다. 실제로 중국은 하드웨어로는 한국을 바짝 쫓아왔지만 소프트웨어는 아직 한참 못 미친다. 게다가 소프트웨어는 금방 발전할 수 있는 게 아니다.

물론 그렇다고 마냥 안도할 수만은 없다. 중국의 고도성장을 두고 ‘압축성장’이라는 표현도 부족해 일정 구간을 건너뛴 ‘생략성장’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마당이니 말이다.

이헌진 베이징 특파원 mungchii@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