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여문환]경제교육, 시장에 맡기는 역발상을

  • Array
  • 입력 2010년 1월 13일 03시 00분


코멘트
경제위기를 극복하면서 경제교육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 경제교육 금융교육 직업교육 창업교육 신용교육 투자교육 등 각기 다른 간판을 내걸고 정부 공공기관 민간단체 기업이 앞 다퉈 프로그램을 만들어 낸다.

정부는 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산하기관 혹은 유관단체를 설립하여 표준 교재를 만들거나 전문교사 연수 및 양성 방안과 프로그램 인증 사업을 모색 중이다. 각종 상이 걸린 대회와 경제 이해력 시험은 학생과 학부모의 관심을 독려하며 또 다른 경쟁을 부추긴다. 학계는 실생활과 밀접한 경제 금융 재테크나 기업가 정신 교육보다는 전통 경제학의 답습 아래 경제 교과 과정의 확대를 고집하는 듯하다. 기업은 경제교육을 사회공헌사업으로 진행하지만 대부분 홍보성 이벤트로 그치는 경우가 많다.

지역 사회 구성원의 삶의 변화와 경제적 성공을 기대하는 장기적 교육 투자와 지식 기부는 아직까지 많이 찾아보기 어렵다. 많은 기관과 사람의 관심을 받아 다양한 모습으로 진행되는 경제교육도 이젠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 됐다.

우선 정부는 부처별로 나뉜 경제교육 직업교육 창업교육 금융교육을 통합하여 예산 낭비를 막고 교육 효율성을 제고하는 경제교육 통합 조정 기관을 마련해야 한다. 취업 준비만을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 은행과 펀드와 관련된 재테크 위주의 금융교육, 청소년이 사고팔 수 있는 시장 없는 창업교육이 별개의 내용이어서는 안 된다. 영어 음악 미술 체육 등 모든 교과목에서 청소년의 창의성을 자극하는 체험식 경제교육을 개발하고 활용하여 그 속에서 직업 창업 금융 신용교육이 녹아들어 가게 해야 한다.

둘째, 전문교사 양성보다는 직장인이나 퇴직자 그룹 즉 전문경영인, 교사, 전직 경제관료를 포함하는 전문 경제교육 자원봉사자 풀(pool)의 양성이 시급하다. 그들이 경험했던 살아있는 경제 체험과 체계적으로 정리된 교재와 교구 그리고 학교 교사들의 교수법에 대한 노하우의 결합이 가장 바람직한 경제교육의 실행 모델일 수 있다.

셋째, 경제교육 실시에 있어서도 시장경제의 원칙에 충실해야 한다. 정부와 교육당국은 최소한의 지침만을 제공하고 교육의 내용과 수업 방식과 강사를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교사 스스로가 선택하도록 하면, 즉 시장의 선택에 맡기면 어떨까.

마지막으로 학교 밖 경제교육의 문제가 남는다. 특히 해외 이주여성 및 가족, 북한 이탈 청소년, 차상위 계층, 장애인 등 사회 소외계층과 농어촌 지역 주민의 눈높이에 맞는 맞춤형 경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방금 잡은 고기를 주면서 고기 잡는 법을 함께 가르쳐야 한다.

여문환 JA코리아 사무국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