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세영의 따뜻한 동행]아이들이 행복한 나라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요즘 아기들은 엄마의 등을 보고 자란대요.”

점심을 함께 먹던 간호학과 교수가 농담처럼 꺼낸 이야기다. 요즘 젊은 엄마들이 “우리 아기가 이러이러한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같은 질문을 하고 정보를 얻느라 컴퓨터 앞에만 붙어 있는 통에 정작 돌봄을 받아야 할 아기는 엄마의 등 뒤에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육아 사이트가 아이를 키우는 엄마에게 필요한 정보를 주기도 하지만 여기에서 얻는 시시콜콜한 정보가 한편으로는 쓸데없이 과한 경쟁심을 유발하는 주범이 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예전에는 비교할 대상이 고작해야 동네 아이들에 불과했지만 이젠 인터넷을 통하여 전 세계의 아이들로 확대되어 그들이 무엇을 입고 어떤 장난감을 갖고 노는지가 옆집 아이 관찰하는 것보다 더 쉬워졌다.

“한국에선 모든 게 다 비교가 되는 것 같아 불편해요.”

한국에 다니러 온 후배가 무심코 유모차를 밀고 나갔다가 엄마의 옷차림과 유모차를 쓰윽 훑는 시선에서 순식간에 어떤 브랜드에 얼마짜리를 착용하고 있는지 값이 매겨지는 느낌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했다. 한국에 오면 유난히 겉모습에 신경이 쓰인다는 말과 함께 여기에서는 아이를 키울 자신이 없다는 말도 덧붙였다. 타국살이가 녹록지 않은 일일 텐데도 내 나라보다 아이 키우기가 더 편하다는 말에 씁쓸해진다. 최고만을 향해 달리는 우리 사회의 치열한 경쟁심이 ‘아이 키우기가 어려운 나라’로 만들어버렸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1년의 반은 미국의 딸네 집에 머무는 지인이 “이번에 외손자 외손녀가 태권도장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땄어요”라고 하기에 흔한 손자 자랑인 줄 알았다. 그런데 출전자가 각각 두 명, 세 명뿐이었다는 것이다. “두 명 중에서 은메달, 세 명 중에서 동메달인데도 아이들이 메달을 땄다고 좋아하더라고요”라고 말하며 허허 웃었다. 메달을 딴 손자들이 신이 나서 더 열심히 태권도장을 다니더라는 말도 했다. 경쟁에 앞서 먼저 즐길 줄 알게 해주는 것이다.

아이 하나 제대로 키우기 힘든 나라라면 경제발전으로 잘살게 되었다는 말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엄마가 아무리 해외직구 사이트를 열심히 검색하여 세상에서 가장 좋은 옷과 장난감을 사준들 그것이 아이를 진짜 행복하게 해주진 못할 것이다. 올해는 우리 사회가 중증으로 치닫고 있는 ‘비교병’에서 벗어나 엄마도, 아이도 편안하고 행복해지는 한 해가 됐으면 좋겠다.

윤세영 수필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