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미석 칼럼]모르고 진 빚, 모르고 지은 죄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6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돌아보면, 모르고 지은 죄란 없다 다만 들키지 않은 죄가 있을 뿐
남들이 모른다고 무죄라면 정권이 백번 갈려도 百年河淸
기억하는 빚-미처 기억 못하는 빚… 둘을 제대로 가늠하지 못한 죗값
공인이라면 더 혹독하게 치러야

고미석 논설위원
고미석 논설위원
요즈음 정치판은 어떤지 모르나 TV판의 대세 스타를 꼽자면 단연 ‘궁상민’(궁상+이상민)이다. 1990년대를 주름잡은 ‘룰라’의 리더였다가 사업부도와 이혼을 거치며 잊혀져간 그가 다시 전성기를 맞은 배경은 뜻밖에도 70억 원의 채무다. 몸이 부서져라 일하며 꿋꿋이 부채를 갚아나가는 빚쟁이의 고단한 일상에 시청자들이 공감한 덕분이다. ‘리얼’을 뛰어넘는 ‘리얼리티 쇼’의 위력이라 할까. 이제 그는 즉석밥부터 약까지 전국에서 답지하는 선물을 풀어보며 힘을 얻는다. 방송에서 이 모습을 지켜보던 그의 모친이 뼈있는 말을 던진다. “그게 다 빚이여, 빚!” 돈보다 마음의 빚이 무섭다는 직관이다.

막장 정치 드라마로 뒤범벅이었던 지난해 인상 깊게 보았던 TV 드라마에 가슴 찡한 에피소드가 있었다. 부족한 능력으로 가족을 먹여 살리겠다며 헌신해온 노년의 남편에게 위기가 닥친다. 늘 참아주던 아내의 돌발적 이혼 요구에 분노한 그는 외친다. “대체 내가 뭘 그렇게 잘못했길래!”

그러다 마음을 바꾼다. 시집와서 모진 구박 당할 때 외면한 것, 유산했을 때 따스한 한마디 건네지 않은 것…. 망각의 구석에 은닉된 오래된 잘못이 줄줄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사느라 바빠 자기 죄를 몰랐다는 늙은 남편의 뼈저린 후회를 드라마는 이렇게 표현했다. 알고 지은 죄 백 가지, 모르고 지은 죄 천 가지 만 가지.

아마도 그런 게 보통 사람 아닐까. 평생 차용증서 안 쓰고 살았다 해도 빚쟁이가 될 수 있고, 전과는 없어도 누구나 숨은 죄인일 수 있다는 것. 알고 지은 죄보다 모르고 지은 죄가 무겁다는 불가의 가르침이 있다. 죄가 되는 줄 알면 최소한 죄책감이라도 있는데 죄를 인식 못 하면 나쁜 짓을 자꾸 반복한다는 의미다.

알고 진 죄와 모르고 진 죄, 둘은 어떻게 다른가. ‘우리는 가끔 기도를 합니다. “알고 지은 죄, 모르고 지은 죄 다 용서해 주세요.” 하지만 모르고 짓는 죄가 있을까요? 저는 그 말을 할 때마다 늘 부끄럽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다 알고 죄를 짓기 때문입니다.’ 고 하용조 목사의 책에 나오는 구절이다. 궁색한 변명이지 모르고 지은 죄는 거의 없단다. 들켜버린 죄와 들키지 않은 죄가 있을 뿐이라는 냉철한 통찰이다. 죗값 받을 각오 아래 저지르는 죄, 들키지 않길 바라고 저지르는 죄, 죄 지은 바 없노라 자기최면을 거는 죄. 종류는 달라도 무죄는 없다는 뜻인가.

권력과 부, 명예를 가진 이라면 모르고 진 빚, 들키지 않은 죄의 결말이 개인적 반성 차원에서 끝나기는 어렵겠다. 가까이 지낸 누군가에게 부채의식을 느낀 것으로 보이는 전직 대통령이 최근의 사례일 터다. “고맙다, 그런데 여기까지!”라고 선 그을 타이밍을 놓친 것으로 좋게 해석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정말로 셈이 바른 사람이면 자신이 유념한 특정한 빚이, 모르고 받은 은혜에 비해 빙산의 일각이란 사실을 인지해야 마땅하다. 지지자들까지 등 돌리게 만든 이유의 근원은 그런 것 아니겠는가. 내가 기억하는 빚과 미처 기억 못 하는 빚의 무게를 제대로 가늠하지 못한 대가는 공인에게 있어 이토록 혹독하다. 그 광경을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하는 보통 사람들에게도 남의 일만은 아닐 것이다.

그러니 모르고 진 빚, 모르고 지은 죄를 조금이라도 줄이고 싶다면 무엇보다 겸손할 일이다. 새로 출범한 정부의 행보가 아슬아슬한 이유이기도 하다. 청문회 전후로 위장전입 논문표절 등 과거 자신들이 제기하고 추궁했던 진부한 아이템들이 시대를 초월한 레퍼토리처럼 되풀이되는데 옛날과 성격이 다르다고 우기는 퇴행적 행태가 딱하다. 누가 묻지도 않는데 늘 스스로 떳떳하다 정의롭다 외친 사람들이라면 누가 뭐라 안 해도 부끄러워 내부에서부터 왜 우리가 이것밖에 안 되느냐고 혹독히 자아비판하고 끝장토론이라도 벌이나 했는데, 역시 아니었다.

빚을 갚는 데에 달리 이유는 없다. 그래야 마땅해서다. 몰랐다는 건 이유가 아니다. 제때 갚지 못하면 세월 따라 이자 쌓이듯, 모르고 진 빚을 모른 척하면 죄업도 덩달아 누적되는 법이다. 설사 법의 심판이 아니더라도 양심의 법정을 피해갈 길은 없을 것이다. 연예인이 그러하듯 대중을 상대하는 정치인은 자신이 어떤 빚더미 위에 올라앉아 있는가를 매순간 잊어선 안 된다. 죄를 짓지 않는 것보다 들키지 않는 것이 지배적 이데올로기로 작동하는 한, 들키기 전까지는 무죄라는 신조로 버티는 한, 보수든 진보든 정권이 아무리 바뀐들 한국 사회는 늘 그 자리일 테니까.
 
고미석 논설위원 mskoh119@donga.com
#궁상민#룰라#이상민#모르고 진 빚 모르고 지은 죄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