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전국서 反트럼프 시위]
NYT “美채권에 최대 6300억원 투자
관세發 주식 폭락엔 꿈쩍 않다가
美국채 흔들리자 유예” 의혹 제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을 제외한 세계 각국에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한 핵심 이유가 본인의 자산 보호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8일(현지 시간)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유예 발표를 하며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었다”면서 미 국채 시장의 불안 등을 이유로 들었지만 실제로는 주식보다 채권 비중이 높은 자신의 금융자산 포트폴리오 때문이었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미 채권에 1억2500만∼4억4300만 달러(약 1780억∼6310억 원)를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의 전체 금융자산은 2억600만∼6억2000만 달러에 이른다. 이를 감안할 때, 보수적으로 계산해도 채권 비율이 60%에 달해 채권 가격 등락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주식 비중은 10% 미만으로 알려졌다.
전체 채권 보유액의 약 80%는 뉴욕, 시카고 같은 대도시 당국이 발행한 지방채였다. 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같은 대기업이 발행한 회사채는 1800만∼7500만 달러, 국채는 900만∼4200만 달러 보유한 것으로 추정된다.
NYT는 재집권 후 줄곧 관세 부과를 공언했던 트럼프 대통령이 돌연 유예를 선언한 게 이런 자산 현황과 무관하지 않을 것으로 추측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여파로 미 주식시장만 급락할 때는 크게 동요하지 않다 충격이 채권시장으로 확산되자 태연함을 잃었다.
관세 유예 발표 뒤 채권시장이 다소 안정세를 보이자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채권시장이 아름답다”며 반색했다. 권력자의 사적 이익에 따라 주요 정책이 추진되거나 보류되는 것에 대한 이해 상충 논란도 계속 커질 가능성이 높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금리 인하 요구에 미온적인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해임할 가능성은 낮다고 NYT는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 때부터 금리 인하를 놓고 걸핏하면 파월 의장 해임을 거론했다. 부동산 사업가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은 고금리에 정적이다. 특히 그는 최근 미 자산시장 하락으로 자신의 두 번째 임기 중 1929년 대공황 수준의 경기침체가 벌어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고, 파월 의장의 신중한 금리 인하 방침을 껄끄럽게 여긴다는 분석이 많다. 트럼프 대통령은 17일 백악관 취재진에게 “내가 원한다면 그는 물러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최근 참모들이 “법적으로 쉽지 않고 금융시장에도 심각한 충격을 줄 수 있는 결정”이라고 만류하자 트럼프 대통령도 일단 해임 시도는 접은 것으로 알려졌다. 연임이 가능한 연준 의장은 4년 임기를 법적으로 보장받고 있다. 미 대통령이 연준 의장을 해임한 사례는 없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