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경제학자 “여성 가사노동 부담 크면 저출산…韓이 대표적”

  • 동아닷컴
  • 입력 2025년 2월 20일 10시 40분


코멘트
5
기사와 직접적 관련 없는 참고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클라우디아 골딘 미국 하버드대 교수가 “남성의 가사노동 참여도에 따라 출산율이 달라지며, 여성이 더 많은 부담을 지고 있는 한국의 저출산 상황이 대표적인 예시”라고 주장했다.

워싱턴포스트(WP) 칼럼니스트 헤더 롱은 18일(현지시간) 칼럼에서 골딘 교수의 ‘아기와 거시경제’ 논문을 소개했다. 해당 논문에서 골딘 교수는 남성이 집안일을 더 많이 하는 곳에서는 출산율이 높고, 남성이 집안일을 적게 하는 곳에서는 출산율이 낮다고 분석했다.

그는 2차 세계대전 이후 여성의 노동시장 진입은 빨라졌지만, 집안일에 대한 남성의 생각은 이러한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충돌이 발생해 전세계적으로 저출생 문제가 발생했다고 봤다.

노벨상 공식 유튜브 갈무리
노벨상 공식 유튜브 갈무리
골딘 교수는 한국, 그리스, 이탈리아, 일본, 포르투갈, 스페인 등 출산율이 1.3% 내외로 떨어진 ‘최저출산 국가’와 미국, 덴마크, 프랑스, 독일, 스웨덴, 영국 등 출산율이 1.6% 내외인 ‘저출산 국가’의 차이가 집안일에 대한 남성의 인식에서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에 대한 가장 극단적인 예시로 한국을 꼽았다. 2023년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2명이었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매일 약 3시간 더 많은 가사노동을 수행하고 있다고 했다.

칼럼은 농촌 국가였던 한국이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소득이 빠르게 증가하고 여성들의 노동시장 진출도 가속화됐지만 남성들은 여전히 여성이 집에 있어야 한다는 전통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었고 이러한 충돌이 출산율 저하로 이어졌다는 게 골딘 교수의 분석이라고 전했다.

또한 한국과 마찬가지로 최저출산 국가에 해당하는 일본과 이탈리아에서도 여성이 남성보다 매일 3시간 이상의 가사노동을 부담하는 반면, 출산율이 높은 스웨덴은 남녀 가사노동 차이가 1시간 미만이라고 지적했다.

골딘 교수는““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룰 때는 여러 세대가 현실에 익숙해질 충분한 시간을 주지 않는다. 그들을 현실에 밀어붙이는 것”고 평가했다.

골딘 교수는 1990년 하버드 경제학과 최초의 여성 종신 교수로 임명됐다. 1946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나 코넬대에서 미생물학을 전공하고 시카고대에서 경제학으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性)에 따른 임금 격차 등 여성의 일자리와 경력단절 등을 연구하며 오랫동안 노벨상 후보로 지목되다가 2023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여성 경제학자가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것은 엘리너 오스트롬(2009년), 에스테르 뒤플로(2019년)에 이어 역대 세 번째였다.

#클로디아고딘#노벨상#경제학자#출산율#집안일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1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 2025-02-20 11:37:59

    필리핀 가사 도우미들이 웃다 배꼽빠져 가겠다 ... ㅋㅋㅋㅋㅋㅋ 그래서 필리핀보다 출산율리 턱없이 낮은 거지 ???? ㅋㅋㅋㅋㅋㅋ

  • 2025-02-20 11:38:03

    한국은 높은 집값이 문제야. 살집이 없어 지방으로 계속 쫓겨나는데 애를 어떻게 낳고 결혼은 또 어떻게 하나? 물론 가사노동도 고려사항이지만 제일 큰 문제는 아니지.

  • 2025-02-20 20:37:20

    요즘 노벨상의 수준을 알만하자너 ㅋㅋㅋㅋ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